top of page


기획 | 한국의 보호지역 다시 설계해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2025-04-14 박성미 총괄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지난 2023년 11월과 2024년 6월 두번에 걸쳐 한국의 '보호지역'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 한국의 보호지역 제도가 실질적 보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구조적...
0


대통령의 기후미션 | 전문가 7인의 특별 연재 시리즈
2025-04-09 정리 박성미 총괄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이 오는 6월 3일(화)로 확정됐다.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둔 지금, 대한민국은 국가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탄소중립과 기후 적응, 정의로운 전환과...
1

![[사설] 대통령의 기후미션](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aa0897d6c8ac4d25a036c555702946a4~mv2.jpg/v1/fill/w_305,h_229,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aa0897d6c8ac4d25a036c555702946a4~mv2.webp)
[사설] 대통령의 기후미션
기후위기 대통령 미션, 새로 선출될 대통령에게 청색기술, 탄소흡수원, 수소경제 등 기후위기 대응이 시급한 국가과제임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0


현장취재 | 윤여창 서울대 명예교수 | 보호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산림정책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4대 목표와 국내 산림 정책의 한계, 시민사회 참여 부족 등 산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다루고 있다.
0


현장취재 | 오충현 동국대 교수 |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체계의 문제점과 제안
보호지역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보호지역 확대 목표와 현황을 살펴보며, 중복된 관리체계와 보호지역의 실효성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보호지역 관리에 있어 지역주민과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
0


현장취재 | 박종원 부경대 교수 | KM-GBF의 국내 이행을 위한 보호지역 관련 입법 과제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입법과제, 국내 보호지역 관련 입법과제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 시 고려사항과 함께 생물다양성법의 한계점과 기본법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0


대선기획 | 기후국가10대 기후미션 | ①보호구역 재설계
2025-04-11 정리 박성미 총괄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이 오는 6월 3일(화)로 확정됐다.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둔 지금, 대한민국은 국가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탄소중립과 기후 적응, 정의로운 전환과...
0

기획 | 생물다양성의 최후 보루, 보호지역을 보호하라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지정관리, 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 수단인 보호구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보호 관리와 지역사회 참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0


박한용의 개헌 현대사 ① | 개헌, 그 미묘하고 피할 수 없는 유혹 — 만병통치인가, 만병골수인가
윤석열 내란의 종식과 개헌 논란. 최근 국회의장의 갑작스러운 개헌 제안은 권력 나눠 먹기식 사기 개헌이 가능성이 크다. 당면한 과제는 잔존 내란 세력을 제거하고, 내란 종식 세력이 대한민국의 주인인 국민을 위한 진정한 개헌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0


이상호의 독일 기후 공약 ③ | 독일 선거에서 기후 이슈가 사라진 이유
독일 기후위기 정책 변화, 독일 선거에서 기후 이슈가 뒤로 물러났다. 경기 불황과 난민 문제가 화두가 되면서 기후 보호는 정치적 용기 부족과 정당의 지지층 상실 두려움으로 주변화되었다. 그러나 극심한 기상 이변으로 기후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0


지오북ㅣ여행은 공동체를 향해 간다
지속가능한 여행문화 트렌드, 여행의 미래는 공동체를 향한다.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로 시작된 여행의 변화는 지속가능한 여행으로 발전하고 있다. 관광객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역사회와의 협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1


현장취재 | 최태영 그린피스 | 국제 약속 역행하는 한국의 보호지역 관리
보호지역 훼손 문제,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한 한국 정부가 보호지역 관리에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보호지역을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⑥ 대지의 예술제, 에치고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에치고 츠마리 예술제 특징,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 예술제인 에치고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는 마을 사람들과 자연의 숨결을 예술로 승화시켜, 사람과 작품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독특한 문화예술 공간이다.
2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아빠의 술안주 고르기
친환경 술안주 선택법, 기후변화 문제를 고려하며 지속가능한 술안주를 고르는 아빠의 모습을 담은 칼럼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막걸리와 닭고기, 해산물, 두부 등을 선택하고 음식 낭비를 줄이는 방법을 소개하며, 술상에서도 더 나은 세상을 꿈꾼다.
0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파시즘, 노동권, 전쟁의 관계
노동권 파시즘 전쟁 관계, 1930년대 파시즘과 노동권 말살로 시작된 전쟁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노동권 보장이 평화의 초석임을 말한다.
0


현장취재 |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른 보호구역의 실태와 개선 과제 포럼 열려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정책,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기사로, 국회 환경노동정책포럼에서 보호구역 실태와 개선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환경부, 산림청 관계자와 시민단체,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실효성 있는 정책
0


특별기고 | 한상훈 | 지구 6번째 대멸종, 산불을 막아야 한다
2025-04-04 한상훈 경북의 대형 산불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마음이 타들어 간다. 2025년 새해 벽두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와 로스앤젤레스에서 대규모 산림 화재가 있었다. 최근 10년 동안 지구의 허파라고 일컫는 남미 아마존에서, 미국 하와이주...
0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한반도의 지정학
한반도의 지정학적 표현에 관한 내용으로, 토끼와 호랑이 형상, 칼날과 교두보, 완충지대와 협상의 공간 등 다양한 관점을 다루고 있다.
0

1타 중국 철학자 | 연재를 마치며
중국 철학자 핵심 사상, 중국 철학자들이 끊임없이 물어왔던 우주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조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우리가 고민해야 할 바를 제시하는 연재를 마무리하고 있다.
0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갈아엎고 새로이 싹틔우는, 청명
봄 청명 절기 농사, 청명, 농사 새로 시작하기 좋은 때로 갈아엎고 싹트는 계절이다. 평소와 다른 기후로 혼란스러운 농부들이지만, 씨앗의 힘을 믿고 묵은 것을 갈아엎고 새롭게 시작하는 계절이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