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우성의 생태포럼 | 도시가 만드는 숲
도시숲 조성과 효과, 도시 생태계 적응하는 야생생물, 도시숲이 만드는 공기 정화와 기후 조절 효과, 사람들의 휴식과 정서 함양 공간인 도시숲의 가치를 다루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나무 껍질이 만드는 숲
자작나무 숲 생태 관리, 추운 북방 지역의 나무인 자작나무에 대해 소개합니다. 자작나무의 특징인 하얀 나무껍질과 그것이 숲에서 하는 역할,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자작나무 숲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고민을 다루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하)
산불피해지 숲 복원방법, 산불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복원 및 인공조림을 통한 숲 복원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산불 피해 정도에 따른 복원 방법의 장단점과 실제 복원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0


윤여창 교수 |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 기여해야
2025-01-10 황희정 기자 윤여창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플래닛03에 대한 첫인상은 매우 신선했다고 전했다. 기존에 존재하던 숲 관련 잡지나 신문은 산림업이나 임업에 종사하는 특정 전문가들을 위한 것이었는데, 플래닛03은 대중과의 소통을...
0

이창재 교수 | 지구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미디어로
2025-01-10 황희정 기자 이창재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초빙교수는 플래닛03의 설립 취지와 활동 방향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플래닛03은 지구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미디어로서 기후와 숲 생태계를 주제로 다양한 콘텐츠를...
0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ㅣ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기후 저널리즘으로
2025-01-10 황희정 기자 기후위기와 환경 보존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원장은 인터뷰를 통해 플래닛03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으로 단순한 기후 관련 뉴스 전달에 머물지 말고, 사람들의 행동을 이끄는...
0


법으로 지정된 '산림 보호 지역', 누가 훼손하고 있나
보호지역 산림훼손 실태, 법으로 지정된 '산림 보호 지역'의 훼손 실태를 국제 환경단체가 폭로했다. 정부의 개발 사업으로 보호지역이 훼손되고 있으며, 이는 국제적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2

캐슬린 울프 | '자연'에 대한 경제 가치를 평가하다
황희정 기자 2024-11-01 캐슬린 울프(Kathleen L. Wolf) 박사는 워싱턴대학교 교수로 환경심리학자이자 사회과학자다. 도시 숲과 녹지가 인간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위트만대(Whitman...
0


울리카 스틱스도터 | '치유정원'설계, 자연기반 치료 프로젝트
황희정 기자 2024-11-01 울리카 스틱스도터(Ulrika K.Stigsdotter) 교수는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University of Copenhagen) 조경건축학과 교수로 스웨덴 농업과학대학교(Swedish University of...
0


멜리사 렘 | '자연처방', 인간과 지구의 건강을 위해 의사가 나서야
황희정 기자 2024-11-01 멜리사 렘(Melissa Lem) 박사는 캐나다 밴쿠버의 가정의학 전문의로 '캐나다 환경 의사 협회(Canadian 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the Environment, CAPE)...
0


신원섭 | '산림치유'로 인간성 상실 막을 수 있어
신원섭 전 산림청장은 "산림치유로 인간성 회복 가능"이라며, 산림의 긍정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며 국제 연대 조직 설립을 추진 중이다.
0

이상호 | 생태국가 독일을 가다④ | 국립공원 검은 숲(Black Forest National Park)
2024-10-24 이상호 이상호 박사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장관 정책보좌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국회 정책보좌관, 민주노총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21년부터...
1


기획 | 식물에 대한 발견, 식물사회가 회복되어야
황희정 기자 2024-10-04 식물이 인간을 강력하게 키우다 원시시대에 인간은 야생의 식물을 먹으며 생존했다. 약 1만 년 전부터 인간은 사는 곳 주변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농업혁명'으로 인류사를 바꿔 놓았다. 인간은 생존에...
0

이영숙 | 식물의 사회생활, 식물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다
황희정 기자 2024-10-04 이영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했다. 박사 과정 후 1년간 하버드대학교에서 연구원 근무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후...
0

최영선 | 노을공원시민모임ㅣ나무의사가 사는 법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0


식물의 사회생활 | 이영숙 최배영 지음
『식물의 사회생활』 은 한 곳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이 다른 식물, 미생물, 동물, 인간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지 소개한다. 먹고 먹히며 살아 남고, 살아 가는 식물들의 전략적 삶에서 기후위기의 시대, 어떻게 이 모든 생명체들과...
0


제12강 숲의 가치와 지속가능한 숲 | 윤여창
강의 윤여창 서울대 명예교수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2024.04.05 소개받은 윤여창입니다. 멀리서 여기까지 와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강의할 내용은 크게 6가지입니다. ‘숲이 무엇인지?’, ‘어떤 숲들이 있나?’ 이 두 가지는 같은...
0


최형태 | 산림으로 물을 관리하다
황희정 기자 2024-08-02 최형태는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를 졸업, 산림수문학(Forest Hydrology)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비정규직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영국 포닥으로 있었다. 2007년...
0

제11강 기후변화와 미래 산림 비즈니스 | 박 현
강의 박현 정리 홍석근 편집기자 2024.03.22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저한테 원래 요청하신 강연 주제가 ‘기후변화와 미래의 비즈니스’예요. 제가 비즈니스 전반을 다 할 수 없어서, 숲 분야, 산림 분야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하려고 제목을...
0


제10강 풀과 나무와 정원으로 세상 읽기 | 이유미
강의 이유미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풀과 나무와 정원으로 세상 읽기 안녕하세요, 이유미입니다. 여기 우리 분야에 교수님도 계시고 선배님들도 계시고, 언제나 정다운 해설가 선생님들 계시고, 갑자기 왜 떨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이 제목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