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특집ㅣ플라스틱의 모든 것
2025-01-24 황희정 기자 @pexels 코끼리 상아를 대체하다 플라스틱은 현대 사회를 상징하는 소재로 가볍고, 저렴하고, 다재다능하다. 플라스틱(plastic)은 그리스어로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라는 의미의...
0


플래닛03이 선정한 2025년 10대 키워드
2025-1-13 황희정 김사름 최민욱 기자 블루카본(Blue Carbon): 갯벌과 해조류의 국제 승인 바다숲 조성을 위한 수중챔버 설치 모습 블루카본(Blue Carbon)은 염습지 식물, 맹그로브, 해조류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 2...
1


플래닛03이 선정한 2024년 10대 인물
2025-01-03 황희정 김사름 기자 강금실 경기도 기후대사, 한반도 기후위기 대응 해법으로 '기후평화' 주창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은 2023부터 경기도 기후대사로 활동 중이다. 2024년 9월, 뉴욕기후주간에서 강금실 대사는 "기후위기는...
0


플래닛03이 선정한 2024년 10대 뉴스
2024.12.30 황희정 김사름 기자 '기후 소송' 아시아 최초 '일부 승소'...정부 패소, 헌재 '헌법불합치' 결정 2024년 8월 29일 헌법재판소는 정부의 불충분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헌법 불합치 결정을...
0


최정호ㅣ탈인간중심적 존엄 개념의 가능성
최정호 교수는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를 비판하며, 비인간 자연물에 대한 존엄 개념을 탐구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희정 기자 2024-12-06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 학술 대회에 참가한 최정호 교수 자연의 본래적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0


'지구법' 실현은 가능한가?
2024-12-03 김사름 기자 토마스 베리가 주창한 지구법, ‘존재할 권리’, ‘서식할 권리’, ‘지구의 진화에 참가할 권리’ '지구법(Earth Jurisprudence)’은 21세기 초 제안된, 법과 거버넌스의 전환이론이자 법철학이다....
0


쟁점토론ㅣESG와 지구법학의 쟁점들
2024-12-06 황희정 기자 '자연을 위한 법적담론' 학술대회에서 류영재 (사)서스틴베스트 대표이사는 ESG의 철학적 기초를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의 공존과 조화”로 정의하며 기업들의 단기 성과 추구가 장기적인 환경과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지...
0


김도균ㅣ지구법학적 공적 이성의 가능성
김도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에서 공적 이성과 지구법학의 결합 가능성을 탐구하며 새로운 법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황희정 기자 2024-12-06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 학술 대회에 참가한 김도균 교수 지구적...
0


정준영ㅣ법인격성 다발 이론과 자연의 권리주체성
서울대학교 정준영 연구원은 법인격성 다발 이론을 통해 자연의 권리 주체성을 탐구해 법학적 담론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2024-12-06 황희정 기자 법인격성 다발 이론으로 법적 인격의 대상을 넓히다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에...
0


특별기고 | 스펙터클 스포츠의 종말과 신유목민의 사회
2014-11-14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 연구소 소장 김현우 소장은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0


캐슬린 울프 | '자연'에 대한 경제 가치를 평가하다
황희정 기자 2024-11-01 캐슬린 울프(Kathleen L. Wolf) 박사는 워싱턴대학교 교수로 환경심리학자이자 사회과학자다. 도시 숲과 녹지가 인간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위트만대(Whitman...
0


울리카 스틱스도터 | '치유정원'설계, 자연기반 치료 프로젝트
황희정 기자 2024-11-01 울리카 스틱스도터(Ulrika K.Stigsdotter) 교수는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University of Copenhagen) 조경건축학과 교수로 스웨덴 농업과학대학교(Swedish University of...
0


멜리사 렘 | '자연처방', 인간과 지구의 건강을 위해 의사가 나서야
황희정 기자 2024-11-01 멜리사 렘(Melissa Lem) 박사는 캐나다 밴쿠버의 가정의학 전문의로 '캐나다 환경 의사 협회(Canadian 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the Environment, CAPE)...
0


기획 | 역할 커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변화 대응,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기후위기 시대에 해양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예측하는 핵심 기관으로, 해양 기후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 연구를 통해 국가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
1


현장취재ㅣ기후위기와 AI시대의 넥스트 가치 (Next Value)
황희정 기자 2024-10-18 2024년 10월 16일 수요일 오후 7시, 서울시 용산구 ‘지구와사람’에서 ‘그린 리바이어던: 기후위기와 AI 시대의 넥스트 가치(Next Value)’라는 주제로 ‘2024 기후변화 콜로키움’이 개최됐다....
0


기획 ② | 노벨상이 쏘아 올린 AI시대
2024-10-16 <편집자주> 2024년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은 전통적인 물리학자나 화학자가 아니라 인공지능을 연구했거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과학자들이 선정되었다. 2023년 ChatGPT로 세상이 놀래고 있는 사이에 2024년 노벨상위원회는...
0


기획 ① | AI가 없는 세상은 더 이상 없다
2024-10-16 <편집자주> 2023년, ChatGPT가 출시되었다. 불과 2개월 만에 1억 명의 사용자가 생성되었고 ChatGPT는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소비자 어플리케이션이 되었다. 컴퓨터나 인터넷, 핸드폰 없는 인류를 상상할 수...
0


기획 ③ | AI와 기후위기
2024-10-16 <편집자주> AI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해서 AI가 만들어 낼 사회적, 윤리적 영향을 모두 알고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우리는 충분히 알지 못하며, 이는 정확한 정보에 근거한...
0


기획 | 기후 저널리즘과 언론의 역할: 지구의 마지막 경고 앞에서
2024-10-08 기후위기는 더 이상 다가올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이 지구는 이미 변화의 최전선에 놓여 있다. 산불, 홍수, 폭염, 이상기온이 일상이 되어가는 지금, 인간 사회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인류가 생존할 수...
0


기획 | 식물에 대한 발견, 식물사회가 회복되어야
황희정 기자 2024-10-04 식물이 인간을 강력하게 키우다 원시시대에 인간은 야생의 식물을 먹으며 생존했다. 약 1만 년 전부터 인간은 사는 곳 주변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농업혁명'으로 인류사를 바꿔 놓았다. 인간은 생존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