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우수수수 녹은 눈 사이로 봄이 솟는, 우수
정월 장담그기 우수절기,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우수'를 설명하고, 음력 정월달 장 담그기, 씨앗 심는 등 농사일을 다루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눈이 만드는 숲
겨울 눈속 숲 생태계, 겨울의 눈이 숲에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소개하고 있다. 눈은 토양의 온도와 수분을 조절하여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며, 특히 아고산대 숲과 제주도 구상나무 숲에서 그 역할이 크다.
0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시작은 들어오는 게 아니라 세우는 것, 입춘
농사 기후변화 철학, 음력 정월 눈이 많으면 7월에 비가 많이 온다는 할머니의 지혜. 달라진 기후에 맞춰 상업농 이전의 농사법이 회복탄력성이 높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겨울, 농사가 시작되는 계절
겨울철 사과나무 전정 방법, 농사철 겨울에는 사과나무 전정이 중요한 농사 활동이라는 내용입니다. 저자는 겨울 관광 체험 프로그램에서 일반인들이 직접 사과나무 전정을 해보는 체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사과나무 전정의 중요성과 의미를 설명합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중)
산불 생태계 변화 과정, 산불이 숲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산불로부터 숲이 회복되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산불은 파괴적일 수 있지만 때로는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내용이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상)
2 024-12-26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헬리콥터의 프로펠러가 내는 소음과 진동에 사무실 창틀이 떨립니다. 창밖을 내다보니 산불 진화 헬기가 사무실 앞 강에서 물을 긷고 있습니다. 헬기는 산불이 꺼질때까지...
0


양해리ㅣ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이행 보고
2024-12-20 김사름 기자 2024년 12월 16일 서울가든호텔에서 개최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이행 현황 설명회'에서 환경부는 2024년 추진한 1차년도 이행과정에 대해 발표했다. 2024년 추진한 1차년도 이행과정을...
1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무엇이 이행되었나
전문가 시민 등 민관 합동으로 국가생물다양성전략 5개년 계획에 따른 2024년 1차년도 이행 설명회 열려. 2024-12-20 김사름 기자 국가생물다양성전략 2024년 이행 현황, 민관 합동 점검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으로서 생물다양성...
0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전문가, 시민사회 등을 대상으로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이행 현황 공유 및 이행력 제고를 위한 설명회 열려. 2024-12-20 김사름 기자 2023년 12월 12일,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0


허준미ㅣ생물다양성협약 제16차 당사국총회 결과 공유
2024-12-20 김사름 기자 제16차 당사국총회 주요 의제와 안건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허준미 연구사 국립생물자원관 허준미 연구사는 2024년 12월 16일 서울가든호텔에서 개최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이행 현황 설명회'에...
0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황희정 기자 2024-12-20 https://www.undp.org/events/UN-CBD-COP16 생물다양성: 생물종의 다양성, 생태계의 다양성, 유전자의 다양성을 총칭 생물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소금이 만드는 숲
맹그로브 해안숲 생태계, 따뜻한 남쪽나라의 맹그로브 숲을 소개하다. 맹그로브 숲은 소금기를 걸러내며 물에 잠긴 진흙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적응력을 보여준다. 맹그로브 숲은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이자 인간을 재해를 막아 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0


박정흠ㅣ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 방안 제안
황희정 기자 2024-12-20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박정흠 팀장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 목표 지난 12월 16일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현황 설명회에서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박정흠 팀장이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방안’에 대한 발표를...
0


김이중ㅣ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음식물류폐기물 감축
황희정 기자 2024-12-20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의 김이중 교수 음식물폐기물 관리 현황과 문제점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의 김이중 교수는 2024년 12월 16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진행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이행 현황...
0


노태권ㅣ제7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이행 점검 강화 방안
황희정 기자 2024-12-20 국립생물자원관의 노태권 연구관 생물다양성 전략의 미래 노태권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이 발표한 ‘제7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이행 점검 강화 방안’은 앞으로의 국내 생물다양성 전략의 미래를 제시했다. 2022년...
0


어스파머 | 30년 발효장을 이어 온 '무량수' 정병우 대표의 걱정
기후변화 전통장류 위기, 영주의 전통 장류 제조업체 '무량수'의 정병우 대표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겪는 어려움을 전하다. 지역 특산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환경 보호와 혁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중국 철학은 새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가
중국철학 발전 시대구분, 중국 철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주요 인물들을 소개하고, 『주역』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과 철학적 접근법을 설명하며, 풍우란 철학의 발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새싹으로 만드는 숲
나무 속 부후 현상, 김우성의 생태 포럼에서는 나무의 내부 구조와 생장 과정을 탐구한다. 나무의 중심부가 비어 있는 이유와 나무가 어린 새싹에서부터 거대한 나무로 자라는 과정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건조함이 만드는 숲
건조기후 향신료 숲, 건조한 지중해 기후에 적응한 향기로운 식물들을 소개하고, 이런 식물들의 2차 대사산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줄기로 만드는 숲
대나무 생태 특징 이해하기, 대나무의 독특한 구조와 특성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다. 대나무는 나무가 아닌 벼와 같은 풀이며, 땅속 줄기가 서로 연결되어 군락을 이룬다. 대나무를 옮겨심기 어려운 이유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