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액티비티 | 동물복지활동가 최혁준 | 존재 그 자체에 다가가기 위하여
이유경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09 최혁준은 '전시 동물' 복지 활동가이며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활동가다. 태어날 때부터 동물을 사랑했다. 돌 사진도 호랑이 인형 위에서 찍었다. 처음 배운 한글도 ‘엄마, 아빠, 가나다라’가...
0


탐방 | 가로수시민연대 최진우 대표 | 가로수 관리와 보호를 위한 거버넌스가 필요
송민경 기자 2024-04-04 변화의 힘은 시민에게 있다 최진우는 2020년, '가로수시민연대'를 결성하여 가로수와 도시 숲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도시생태연구자에서 2022년부터 서울환경연합의 생태도시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가...
0


김레베카 | 가로수에 대한 인간의 예의
송민경 기자 2024-04-04 김레베카는 불문학을 전공하고 2000년대 초반부터 시민운동에 동참했다. 2011년부터 ‘4대강 사업’을 계기로 환경운동에 뛰어들었다. 뒤늦게 시작한 사회학 박사과정과 현장경험을 통합해 환경사회학자의 길을 걷고...
0


액티비티 | 엄삼용 | 동강은 최고의 선물입니다
이유경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03 동서강보존본부 엄삼용이사는 강원도 정선에서 나고 자랐다. 영월에 댐이 지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처음 동강을 찾았다. 늘 곁에 있어서 미처 인식하지 못했다. 동강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곳이었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우리가 녹지 빈곤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박진희 2024-04-04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높은 산중에 집이 있어, 숲에 둘러싸여 산다. 푸른 나무,...
0


인사이트ㅣ이유미 박사 | 식물주권의 기초를 다지다
황희정 기자 2024-04-02 이유미 박사는 식물분류학자다.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에서 석사, 동 대학에서 식물분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립수목원 연구사로 시작해 원장이 되었다. 국립세종수목원이 만들어질 때는 초대원장이 되었고 2대 원장을...
0


기획특집 | 동강할미꽃을 대하는 태도
김진아 편집기자 2024-04-01 강원도 영월의 동강 줄기를 따라 걷다 보면 회색빛 석회암 바위들이 펼쳐진다. 동강할미꽃은 그 석회암 바위 틈새에 뿌리를 내린다. 바람 따라 가냘프게 흔들리면서도 올곧게 하늘을 향해 고개를 들고 있다. 매년...
0


탐방취재 | 문경자연생태박물관 | 식물사회학자의 공간, 그리고 시간
박성미 총괄 2024-04-01 문경시 생태공원팀 김정섭 학예사는 식물사회학 석사로 '문경자연생태박물관'에 15년째 근무 중이다. 생태공원을 조성한다는 말을 듣고 해 보고 싶었다. 지금도 처음 그 맘 그대로 행복하다. 생물학이나 환경에 대한...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식품의 쓰레기화 막는 사회로 나아가야
박진희 2024-03-27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생산자 지난 2021년...
0


생태포럼 | 나무는 일반쓰레기입니다
나무는 일반쓰레기입니다 우리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자랐습니다. 나무는 우리에게 열매를 주고, 땔감을 줍니다. 나무로 집도 짓고, 가구도 만들고, 악기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 주변의 다양한 공예품과 장난감은 나무로...
0


액티비티 | 자연의벗연구소 | 독수리를 지키는 사람들
송민경 기자, 양성욱 영상기자 2024-03-18 지난 3월 15일, 자연의벗연구소는 '한국몽골국제포럼' <독수리를 지키는 사람들>이라는 주제로 서울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에서 '제3차 자연의벗 멸종위기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0


송원규 | (사)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 지구와 인간이 상생하는 '대안적 먹거리 체계'
송민경 기자, 양성욱 영상 2024-03-14 송원규는 농과대학을 졸업한 후 농민단체에서 활동했다. 이후 석박사과정에서 유통구조와 직불제를 연구했으며 농식품경제학에서 로컬푸드, 지역 먹거리 정책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왔다. 농민의 입장에서...
0


생태포럼 | 오일장에서 만나는 탄소발자국
걸어서 갈 수 있는 시장이 있는 곳으로 “산들아, 오늘 장날이야! 장에 가지 않을래?” 아내가 일하는 백년숲 사회적협동조합이 있는 다운동에는 5일마다 장이 열립니다. 산들이는 장에서 호떡과 튀김과 순대, 떡볶이를 사 먹습니다. 아빠는 청양고추가...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오, 나의 오색찬란 감자님!
박진희 2024-03-14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귀농을 결심하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에 산다. 도시민이었는데...
0


이영미 | 식물식평화세상 대표 | 내가 먹는 것이 내가 원하는 세상과 연결된다
박성미 총괄 2024-03-12 평화밥상 연구가. 식물식밥상 지도사. 20살 무렵 세상의 평화를 고민했다. 결혼 후 밥상을 차리면서 참된 밥상이 무엇인지를 알고 싶었다. 자연식물식을 공부하면서 세상의 평화가 밥상에서 시작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0


생태포럼ㅣ한반도를 숲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한반도 전체 숲에서 연간 최대 5,200만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북의 숲은 황무지에 가깝습니다. 북의 산림면적은 약 900만ha로 대한민국의 산림면적보다 넓지만, 이 중 31.6%인 284만ha가 황폐산지입니다. 숲에 자라는 나무의...
0

특집 | 생물다양성 복원, 근본적 변화와 실천이 필요
송민경 기자 2024-02-22 기후위기 논의는 생태계의 복원으로 귀결된다. 생태계의 복원은 '생물종다양성' 회복이라고 학자들은 지적한다. 생물종다양성은 왜 중요한지, 현재 지구의 생물종다양성은 얼마나 파괴되었는지를 지표를 통해 알아본다....
0


현장취재 | 비례대표 출사표 김우성, '그린테이블’에서 시민 토론 이끌어내
박성미 총괄 2024-02-22 "청년들의 고충과 지역 소멸, 남북문제 등, 생태정치로 현실 고통 바꿀 것" 김우성 씨(40)가 경기도 시흥 '숲 1976'에서 '그린테이블'을 진행하고 있다. / planet03 DB 생태활동가 김우성...
0


한상훈 소장 |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 인간도 야생동물이었다
송민경 기자 2024-02-15 canis.ru.rufus@gmail.com 한상훈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0


이종구교수ㅣ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야생동물과의 갈등을 줄여야
박성미 총괄 2024-02-22 이종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숲의 생태계를 배웠고, 생태계의 구성 요소인 야생동물을 다루는 연구실에서 공부했다.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야생동물의 생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