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생태포럼ㅣ한반도를 숲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한반도 전체 숲에서 연간 최대 5,200만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북의 숲은 황무지에 가깝습니다. 북의 산림면적은 약 900만ha로 대한민국의 산림면적보다 넓지만, 이 중 31.6%인 284만ha가 황폐산지입니다. 숲에 자라는 나무의...
0


특집 | 생물다양성 복원, 근본적 변화와 실천이 필요
송민경 기자 2024-02-22 기후위기 논의는 생태계의 복원으로 귀결된다. 생태계의 복원은 '생물종다양성' 회복이라고 학자들은 지적한다. 생물종다양성은 왜 중요한지, 현재 지구의 생물종다양성은 얼마나 파괴되었는지를 지표를 통해 알아본다....
0


현장취재 | 비례대표 출사표 김우성, '그린테이블’에서 시민 토론 이끌어내
박성미 총괄 2024-02-22 "청년들의 고충과 지역 소멸, 남북문제 등, 생태정치로 현실 고통 바꿀 것" 김우성 씨(40)가 경기도 시흥 '숲 1976'에서 '그린테이블'을 진행하고 있다. / planet03 DB 생태활동가 김우성...
0


한상훈 소장 |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 인간도 야생동물이었다
송민경 기자 2024-02-15 canis.ru.rufus@gmail.com 한상훈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0


이종구교수ㅣ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야생동물과의 갈등을 줄여야
박성미 총괄 2024-02-22 이종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숲의 생태계를 배웠고, 생태계의 구성 요소인 야생동물을 다루는 연구실에서 공부했다.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야생동물의 생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0


미래학자 | 이종구 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교수 | 멸종은 돌이킬 수 없다
대담 이종구 교수 김우성 자연과공생연구소 소장 사진 : 이종구 교수(뒷줄 오른쪽 두 번째) planet03 DB 이종구 교수 국립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이종구 교수는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0


현장취재 | 남산 프로젝트와 곤돌라 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황희정 기자 2024-01-23 2024년 1월 23일 2시, 서울 정동에 있는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남산 프로젝트와 곤돌라사업,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긴급 토론회가 열렸다. 최승희 생명의숲 사무처장은 ‘남산 생태 보전의 역사와 지속...
0


현장취재 | 기후위기 대응, 기상·해양·산림 융합 세미나
황희정 기자 2024-01-23 환경일보와 국립강릉원주대, 한국산림경영인협회가 공동 주최한, ‘기후위기 대응, 기상·해양·산림의 융합 세미나’가 지난 달 23일 강릉 세인트존스 호텔 바부다홀에서 ‘산은 바다를 그리고, 바다는 산에 색을 입힌다’를...
0


최병성 | 초록별생명평화연구소 | 나의 소명은 생명을 지키는 것
박성미 총괄 2024- 02-16 최병성 은 초록별생명평화 연구소와 기후재난연구소 상임대표이다. 오마이뉴스 환경탐사 전문시민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이 무너지고 있다 』 (2011), 『 나는 시민기자다 』 (2013), 『 대한민국...
0


생태포럼 | 숲은 탄소 저장고입니다
기후변화로 삶의 역사가 변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비가 내리는 날에 촬영한 경주 석빙고의 사진입니다. 석빙고는 겨울에 두껍게 얼어붙은 강의 얼음을 잘라서 저장해 두고, 여름내 쓰기 위해 만든 시설입니다. 석빙고는 1738년에 만들어졌으니...
0


생태포럼 | 길고양이와 함께하는 삶
온기를 찾아, 가족의 삶 속으로 뛰어들어 온 길고양이 2년 전 어느 추운 겨울 밤, 우리 가족은 울주군 상북면 소호마을의 숙소에 묵고 있었습니다. 차에 물건을 가지러 가기 위해 숙소 문을 여는 순간! 작은 아기 고양이가 숙소로 뛰어들었습니다....
0


WWFㅣ세계 최대 비영리 자연보전기관
황희정 기자 2024-02-06 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는 1961년 설립되었고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600만 명 이상 후원자의 도움을 받으며, 활발하게 활동하는 세계 최대 비영리 자연보전기관이다....
0
![[특집] 국내 최고 산악 전문 출판사, 수문출판사 대표 이수용](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a2e2_8aaa29e9c1e044b2960d5e64cd0096a5~mv2.pn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59a2e2_8aaa29e9c1e044b2960d5e64cd0096a5~mv2.webp)
![[특집] 국내 최고 산악 전문 출판사, 수문출판사 대표 이수용](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a2e2_8aaa29e9c1e044b2960d5e64cd0096a5~mv2.pn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59a2e2_8aaa29e9c1e044b2960d5e64cd0096a5~mv2.webp)
[특집] 국내 최고 산악 전문 출판사, 수문출판사 대표 이수용
황희정 기자 2024-02-06 이수용 수문출판사 대표 사진 planet03 DB 산이 좋아, 산을 위해, 산처럼 수문출판사는 1988년 2월에 설립된 산악 전문 출판사이다. 빼어난 글을 많이 소개하자는 생각에서 수문(秀文)으로 지었다. 설립자인...
0


박병상 |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 생태가 없으면 생존도 없다
송민경 기자 2024-02-06 박병상 소장은 '60+ 기후행동' 상임대표.인천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인천 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인하대학교 생물학과에 입학해 생물학 박사가 된 지금까지 인천을 떠나지 않고 활동하고 있다. ...
0


기획특집 | 다가올 제22대 국회, 생태 정치가 필요하다
황희정 기자 2024-01-30 기후, 숲, 생태, 산림, 에너지 관련 국회의 입법 발의 안건, 전체의 1%에 머물러 제22대 총선이 다가오고 있다. 그렇다면 제21대 국회는 무슨 일을 했을까. 본지가 국민참여입법센터 (...
0


김추령| 지구과학 교사 | 자연에게도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자
송민경 기자 2024-01-30 김추령 『 지금 당장 기후 토론 』 저자이며, 37년간 지구과학 교사 생활을 했다. '가치를 꿈꾸는 과학교사 모임'에서 활동 중이다. 『 오늘의 지구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 『 내일 지구 』 , 『 지금...
0


한재각ㅣ기후정의동맹 집행위원ㅣ불평등과 정의를 말하다
박성미 총괄 2024-02-08 한재각 박사는 기후정의동맹 집행위원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전자공학과를 다니던 대학생 시절, 정치권에서 핵 위험에 대해 충분히 평가하지 않은 채, 경제 발전의 수단으로만 이해하여, 핵...
0


특별기고 | 때마다 검토대상에 오르는 자연 관련 기구들, 위상 바로잡아야
전재경 환경사회연구원장 동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를 받았다. 법무부 참사 및 전문위원(1981~1990),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및 연구본부장(1990~2014), 사회자본연구원 원장, 서울대학교 대학원...
0


생태포럼 | ‘알면 사랑한다’는 생태학의 유명한 명제
‘알면 사랑한다.’는 생태학의 유명한 명제입니다. 우리가 붉은머리오목눈이라는 종의 아름다움을 알게되면 이 종을 소중하게 여기게 됩니다. 붉은머리오목눈이를 소중하게 여기게 되면 이 작은 친구들이 살아가는 덤불과 키작은 숲도 소중하게 여기게 됩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