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타 중국 철학자 | 연재를 마치며
중국 철학자 핵심 사상, 중국 철학자들이 끊임없이 물어왔던 우주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조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우리가 고민해야 할 바를 제시하는 연재를 마무리하고 있다.
0


1타 중국 철학자 | 심학(心學)의 성립, 모우쫑산 4
2025-03-20 윤지산 외세 대항의 세 양상을 소개하고 중국 철학자 슝스리의 '심학(心學)' 사상이 성립되는 배경을 살핀다. 량차차오, 량수밍의 문제의식을 이어서, 슝스리는 '과학으로는 인간을 설명할 수 없다'며, 인간 본성은 도덕적이라며...
0


1타 중국 철학자 | 아호학파(鵝湖學派), 모우쫑산 3
중국 신유가학파의 대표 철학자 슝스리와 제자 모우쫑산의 학맥을 다룬다. 슝스리는 독학으로 '유식학'을 체계화했으며, 차이원페이 총장에 의해 북경대에 초빙되었다. 이후 제자들인 모우쫑산, 탕쥔이 등이 '신유가' 사상을 펼친다.
0


1타 중국 철학자 | 아호학파(鵝湖學派), 모우쫑산 2
북송 5대 유학자(북송오자)의 철학적 영향과 주희, 육구연 등의 논쟁을 통해 성리학과 양명학의 갈등을 다룬다. 이는 현대 신유가 철학자들의 연원과 관련이 깊어, 이해가 필요한 중요한 역사적 맥락이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아호학파(鵝湖學派), 모우쫑산
중국철학자 모우쫑산 학맥, 당나라 왕지환의 <등관작루> 시를 소개하고, 중국 철학자 이상은, 모우쫑산, 팡둥메이 등의 학맥과 영향력을 다루는 글이다.
1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신유학 거목
풍우란 철학 평가, 유명 중국 철학자 풍우란의 다양한 평가를 다루고 있다. 그의 철학적 업적과 정치적 행보, 그리고 자기 변혁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담고 있는 기사이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 없다
중국 철학사에서 ‘추상의 의미’를 계승하고자 했던 풍우란은 문화혁명 과정에서 ‘추상’이 유물론에 반한다며 얼토당토않는 모욕과 치욕을 당한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그 쉼 없는 열정, 자강불식(自强不息)
중국철학자 풍우란 이야기, 중국의 저명한 철학자 풍우란이 미국에서 공부하며 받은 영향과 그의 저작 활동을 소개한다. 서양 철학의 프래그머티즘과 신실재론의 영향 아래 중국 전통철학을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던 풍우란의 열정적인 학문 여정을 살펴본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세상사 결국 인연이 만드는 것
중국 철학자 풍우란의 일대기를 다룬 연재 기사로, 그의 유학 시절부터 북경대 총장 차이위안페이와의 인연, 결혼과 미국 유학 등을 소개하고 있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봄 누에는 죽고서야 실을 토하지 않고(春蠶到死絲方盡)
중국 철학자 풍우란의 삶과 철학에 대한 내용이다. 그의 문학적 글쓰기와 유년시절부터 익힌 『시경』 등의 고전 공부가 그의 사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소개하고 있다.
1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문제적 그러나 치열한, 풍우란
2024-10-25 윤지산 퇴락한 고가에서 묵 가는 소리와 댓바람을 들으며 성장했다. 선조의 유묵을 통해 중국학을 시작했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깊이를 더했다. 한양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인민대학교 등지에서 공부했다. 『고사성어 인문학 강의』,...
3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깨달음의 함정
2024-10-11 윤지산 윤지산 퇴락한 고가에서 묵 가는 소리와 댓바람을 들으며 성장했다. 선조의 유묵을 통해 중국학을 시작했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깊이를 더했다. 한양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인민대학교 등지에서 공부했다. 『고사성어 인문학...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수렴과 발산을 동시에, 수징난 ②
2024-09-26 윤지산 윤지산 퇴락한 고가에서 묵 가는 소리와 댓바람을 들으며 성장했다. 선조의 유묵을 통해 중국학을 시작했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깊이를 더했다. 한양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인민대학교 등지에서 공부했다. 『고사성어 인문학...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필로로기(philology)가 탄탄한 학자, 수징난 ①
2024-09-13 출사의 변 철학자는 통상 시공을 너머 ‘보편적 학’을 추구하지만, 그가 살아가야만 했던 시대와 장소와도 분리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현대 중국 철학자 열전(列傳)을 쓰면서 중국 근현대사와도 동행한다. 한 학자를 정확히...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