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⑤ 멸치와 예술과 생활이 동화된 섬, 이부키지마
이부키지마 섬마을 예술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통해 알려진 작은 섬 이부키지마는 멸치 어업으로 유명하며, 섬 곳곳에서 멸치 문양을 볼 수 있다. 예술제 개최 이후 인구가 조금씩 늘고 있으며, 주민들은 섬의 가치를 인정받기를 바라고 있다.
4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④ 예술제를 통해 박물관 섬이 된 아와시마
세토우치 아와시마 예술여행, 생김새가 남다른 아와시마섬에는 일본 최초의 선원 양성 학교가 있었고, 예술가 촌에서 작가들이 활동하며, 용궁 전설이 살아 있다. 이 섬의 전통이 어떻게 현대미술로 작품화 되었는지를 살펴보자.
4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③ 타카미지마, 문어와 사람이 떠난 자리에 예술이 남아
세토우치 타카미지마 예술제, 세토우치 섬 타카미지마에서 예술제 작품들이 섬의 쇠락과 과거를 아쉬워하며 문어와 사람의 공간을 표현하고 있다. 교토 대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 중인 '타카미지마 프로젝트'가 섬의 역사와 공간을 탐색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5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② 시와쿠제도의 중심 섬인 혼지마의 유산
세토우치 혼지마 여행, 시와쿠쇼토의 중심 섬 혼지마는 자치권을 가진 수군의 거주지였던 역사, 국가가 지정한 전통마을, 국가 공인 채석장, 능숙한 항해 기술 등 혼지마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찾아간다.
4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① 샤미지마, 땅의 역사가 숨 쉬는 섬
세토우치 샤미지마 예술 섬,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서 샤미지마 섬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다카마쓰항과 우노항 주변의 예술 작품들도 함께 다루고 있다.
5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기후변화가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민주주의 영향, 윤석열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후퇴와 기후변화가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지난 겨울 시민들의 민주주의 투쟁과 역사적 기후변화 사례들을 통해 기후위기가 사회 혼란의 기폭제가 되어 왔음을 말한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⑮ 예술이 풀어낸 오시마의 슬픈 이야기
과거 한센병 환자들의 격리 시설이었던 오시마 섬에서 열린 예술제 작품들이 그들의 외로움과 분노, 그리고 도피 욕구를 생생하게 표현했다는 내용이다.
1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⑭ 그 섬들에서 한 달 살이한다면, 오기지마지!
세토우치 오기지마 여행안내,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참여한 오기지마 섬의 특색 있는 예술 작품과 섬 주민들의 삶을 소개하는 글이다. 섬의 아름다운 풍경과 더불어 지역 재생을 위한 노력이 잘 드러나고 있다.
3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⑬ 쓸쓸함이 가득하지만 동화 속에 머물고 싶다면, 메기지마
세토우치 메기지마 도깨비섬 여행, 메기지마는 도깨비 이야기와 평화로운 바닷가 마을의 생활사 박물관이다. 마을 자체가 작품인 이 섬에서는 예술과 일상이 교차하며 동화 속 세계로 빠져드는 경험을 할 수 있다.
4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⑫ 걸어 한 바퀴 돌면 절로 힐링이 되는 섬, 이누지마
이누지마 예술여행,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참여한 작은 섬 이누지마에서 찾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미술관과 예술 작품들, 그리고 섬 주민들의 평화로운 일상을 소개한다.
5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⑪ 주민과 예술가들의 힘으로 부활하는 테시마
테시마 예술섬 부활기, 작은 섬 테시마가 예술제와 주민들의 노력으로 '풍요로운 자연과 예술의 섬'으로 되살아나는 과정을 소개한다.
3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하)
산불피해지 숲 복원방법, 산불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복원 및 인공조림을 통한 숲 복원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산불 피해 정도에 따른 복원 방법의 장단점과 실제 복원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⑨ 왜 나오시마가 예술제의 발상지가 되었을까?
나오시마 예술섬 역사, 나오시마는 세토내해의 작은 섬으로, 현대 미술관과 건축물로 유명하다. 천황의 명명으로 시작된 나오시마는 제련소 마을에서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변화하였다. 지역 주민들의 강한 의지와 아름다운 자연이 나오시마를 예술제의 성공 비결
1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⑧ 지역 예술제를 지휘하는 사람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 운영진, 일본 변방에서 시작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가 세계적인 지역 예술제로 성장하며, 이를 이끌어온 키타가와 프람과 후쿠다케 소이치로의 활약상을 소개하는 글이다.
8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⑦ 안도 다다오가 펼친 예술의 세계
나오시마 안도 다다오 건축, 세토우치 섬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나오시마 프로젝트를 통해 보여준 예술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소개한다. 그의 작품 세계에는 동서양의 건축 기법과 함께 빛, 물, 콘크리트 등 다양한 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11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⑥ 나오시마에서 시작된 도전
미츠비시 제련소로 황폐해진 나오시마는 베네세 재단과 안도 다다오의 현대미술 프로젝트로 예술의 섬이 되었다.
6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④ 세상에서 가장 풍요롭던 바다, 세토나이카이
일본의 지중해로 불리는 바다, 세토나이카이는 조선통신사도 다녔던 오래된 무역항로이자 일본 최대 국립공원이 있으며 수산자원의 세계적인 보고로 문어밥과 멸치 요리 등 해산물 음식도 유명한 바다 정원이다. 2024-11-29 제종길, 고은정, 이응철...
3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② ‘바다 복권’을 꿈꾸다
예술의 섬, 나오시마와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는 주제가 다르고, 이 예술제를 준비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2024-11-14 제종길, 고은정, 이응철 제종길 13대 안산시장, 17대 국회의원, 해양학 박사 고은정 전 수원시 디자인기획관,...
7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① | 일본 해안 도시와 섬들의 실험
‘바다의 복원’을 목표로 열리는 일본의 세토우치 예술제는 기후변화와 산업화로 손상된 해안 지역을 예술로 되살리려는 프로젝트다. 나오시마는 그 중심지로 일본의 예술 섬으로 자리 잡았다. 2024-11-07 제종길, 고은정, 이응철 편집자 주 해안...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