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⑥ 대지의 예술제, 에치고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에치고 츠마리 예술제 특징,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 예술제인 에치고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는 마을 사람들과 자연의 숨결을 예술로 승화시켜, 사람과 작품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독특한 문화예술 공간이다.
0


연대요청 | 한국환경회의, 반 헌법! 반 환경 대통령 파면 촉구
윤석열 파면 환경정책 비판, 윤석열 대통령의 기후위기 외면과 생명·민주주의 파괴에 분노한 시민들이 즉각 파면을 촉구하는 전국 서명운동과 기자회견을 전개하고 있다.
1


기획 | 도심 싱크홀 증가와 홍수 위험, 지하수는 안녕한가
지하수 개발 지반침하 위험, 지하수 관리와 그에 따른 선택과 책임에 대해 다룬다. 지하수 개발에 따른 싱크홀 발생과 지반 침하 문제, 지하수를 둘러싼 공공재와 사유화, 수돗물과 생수의 장단점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물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
0


기획 | 식량 위기, 바다가 보내는 경고
기후변화 수산업 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 악화로 한국 수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명태 자원 고갈, 방어 어획량 감소 등 주요 어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구온난화와 해양 산성화로 인한 것이다. 정부와 연구진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
0


블루테크현장 | 자연에서 배우는 인공두뇌 혁신
친환경 스파이킹 신경망,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스파이킹 신경망(SNN)은 인공지능의 에너지 효율성을 혁신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SNN은 뇌의 신경 신호 전달 방식을 모방해 최소한의 에너지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0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 산주(山主)가 숲을 지켜야 기후위기도 막는다
산림 경영 기후위기 해결,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박정희 인터뷰,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산림 경영에 있다. 산림의 다원적 가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산림 경영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⑯ 쇼도시마, 세토나이카이의 지역 중심 예술 섬이 될 수도 있다
세토우치 쇼도시마 예술여행,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서 눈에 띄는 섬. 쇼도시마는 방대한 면적과 함께 다양한 음식 문화, 풍부한 해산물, 그리고 흥미로운 예술 작품들이 가득하다.
4

기획 | 재생에너지, 동향과 전망
2025-02-20 최민욱 기자 국제에너지기구(IEA), 재생에너지 설치량 중 80% 이상이 태양광이라고 보고 국제에너지기구(IEA)는 'Renewables 2024' 보고서에서 전 세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약...
0


세미나 | 탄소중립 실행체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2050 탄소중립 목표는 ‘선언’이 아니라 ‘행동’과 ‘실천’이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대한민국은 탄소중립을 실현할 ‘실행체계’가 마을에서 정부조직까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5-02-13 박성미 총괄 탄소중립 실현을...
0

기획 | 2025년 정부예산,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나?
2025-01-04 박성미 총괄 2025년 정부 예산은 총 673조3천억원으로 확정되었다. 주요 부처인 환경부, 산업부, 국토부, 농식품부의 예산 편성에서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 대응과 연관된 항목은 일부 증액되었지만, 핵심적인 사업 예산이 삭감된...
0


가치소비ㅣ1.5도씨 이정연 대표 | 작은 실천이 만드는 큰 변화
2025-01-24 최민욱 기자 "진정한 가치소비는 물건을 사는 게 아니라 우리 동네를 바꾸는 거예요." 관악구의 작은 제로웨이스트 숍 '1.5도씨'를 운영하는 이정연 대표의 말이다. 3여년 전 문을 연 이곳은 친환경 제품을 파는 공간을 넘어...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⑩ 이제 나오시마부터 돌아볼까?
세토우치 나오시마 예술여행,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서 나오시마와 다른 섬들의 예술 작품을 소개하고, 세토우치 지역의 다양한 섬들의 독특한 매력을 살펴보는 내용이다.
3


지구는 38억년 가동한 실험실, 자연 모방하는 혁신이 산업 변화의 핵심
2024-12-13 남준기 남준기 기자는 1993부터 2023년까지 내일신문 기자로 재직했다. 2023년 8월 퇴직 후 환경전문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인터페이스사,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모든 방식을 바꾸다 “자연이 바닥 커버링(지표면 덮기)을...
0


특별기고 | 야생동물학자가 바라보는 '동물권'
2014-11-29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 한상훈 박사는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환경부...
0


특별기고 | 스펙터클 스포츠의 종말과 신유목민의 사회
2014-11-14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 연구소 소장 김현우 소장은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0


현장취재ㅣDMZ OPEN 에코피스 포럼
황희정 기자, 김진아 영상기자 2024-11-08 DMZ의 ‘더 큰 평화’, ‘생태 평화’ 2024년 11월 3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DMZ OPEN 에코피스 포럼’이 개최됐다. 경기도, 경기관광공사, DMZ OPEN Festival의 주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