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타 중국 철학자 | 심학(心學)의 성립, 모우쫑산 4
2025-03-20 윤지산 외세 대항의 세 양상을 소개하고 중국 철학자 슝스리의 '심학(心學)' 사상이 성립되는 배경을 살핀다. 량차차오, 량수밍의 문제의식을 이어서, 슝스리는 '과학으로는 인간을 설명할 수 없다'며, 인간 본성은 도덕적이라며...
0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webp)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
기후위기 해결 청색기술,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는 이유를 탐구하고, 자연의 원리를 모방한 청색기술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0


블루테크현장 | 자연에서 배우는 인공두뇌 혁신
친환경 스파이킹 신경망,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스파이킹 신경망(SNN)은 인공지능의 에너지 효율성을 혁신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SNN은 뇌의 신경 신호 전달 방식을 모방해 최소한의 에너지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0


기획특집 | '바이오미메틱스(Biomimetics)', 글로벌 현황과 과제
바이오미메틱스 글로벌 현황, 전 세계 128개국이 주목하는 바이오미메틱스 기술의 글로벌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한국은 세계 7위의 연구 성과를 보이며, 공학·재료과학·화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대, 성균관대, 고려대 등 국내 대학이 핵
0


인사이트 | 조인호 | 시민형 AI로 기후위기에 맞서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포스트AI'의 조인호 대표는 거대 AI 중심의 접근을 넘어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생활 밀착형 AI로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5-03-06 박성미 총괄 조인호 포스트에이아이 대표이사 (...
0

![[사설] 한반도 비핵화와 수소경제](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bb4112f70e9b47f892afc57b1b13ad9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bb4112f70e9b47f892afc57b1b13ad91~mv2.webp)
[사설] 한반도 비핵화와 수소경제
수소경제 한반도 비핵화, 트럼프 행정부의 기후정책이 어려움 속에서도 동북아시아의 수소경제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 경제협력이 선결과제이지만, 러시아와 몽골 등이 참여하는 수소벨트 구축으로 수소경제 활성화가 전망되는 것이다.
0


기획 | ESS와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의 생명줄
2025-02-20 최민욱 기자 재생에너지가 확산되면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스마트그리드가 전력망 안정화 기술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23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30%를 상회했다. 덴마크(80%), 독일(60%)과...
0


지오북ㅣ기후위기와 부정의 역사: 진실을 왜곡하는 힘
기후위기 부정 역사, 기후 과학의 역사와 기후변화 부정론의 정치·경제적 배경을 깊이 있게 탐구한 책이다. 저자는 기후위기 부정이 단순한 개인의 무지가 아닌, 산업계와 정치권의 조직적인 정보 왜곡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혀내고 있다.
0


기획 | 탄소중립을 향한 AI 혁신: 데이터센터 에너지 최적화
기후위기 인공지능 해결방안, 인공지능 전문가 김진형 교수가 인공지능이 기후위기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다. 기술 효율화와 개인의 실천이 중요하며, 기후 문제와 우리의 관계를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0


인사이트 | 카이스트 김진형 교수 | 인공지능,인류에 도움되는 도구로 활용해야
기후위기 인공지능 해결방안, 인공지능 전문가 김진형 교수가 인공지능이 기후위기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다. 기술 효율화와 개인의 실천이 중요하며, 기후 문제와 우리의 관계를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0

![[사설]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축복일까 저주일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c52b74b01c954d6faebe50beef56ebed~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c52b74b01c954d6faebe50beef56ebed~mv2.webp)
[사설]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축복일까 저주일까
인공지능 미래 영향력, 인공지능은 기후위기 대응과 생태계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막대한 에너지 소비로 인한 환경 부담도 있다. 우리의 선택과 의지에 따라 인공지능이 축복이 될지, 저주가 될지가 결정되는 것이다.
1


기획 | 생성형 AI의 그늘: 데이터센터
AI 환경오염 영향, AI의 급증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증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전력 수요 증가, 물 사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환경친화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0


지오북ㅣAI가 지구를 삼키고 있다
AI 환경파괴 실태, AI가 지구의 자원을 탐닉하며 성장하고 있다. 채굴과 데이터 센터 운영으로 인한 환경오염, 노동력 착취 등 AI의 기술적 성과 뒤에 숨겨진 그림자를 조명하고 있다.
0


기획⑤ 인체를 보완하는 기술
황희정 기자 2024-12-13 손상되거나 상실된 신체 부위를 인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unsplash 인공 장기와 신경 보철 인공 장기와 신경 보철 기술은 생명 연장과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는 의학 기술로, 과학과 공학의 결합을 통해...
0


기획④ 생물을 모방한 로봇
황희정 기자 2024-12-13 미국 작가가 예상해 그린 기계오리 안의 모습 오리를 모방한 파리의 기계오리 1739년 프랑스 파리, 루이 15세 궁정에는 오리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기계오리가 있었다. 이 기계는 자크 드 보캉송이 만든 로봇으로 살아...
0


인사이트 | 이인식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
자연의 생물들은 화석연료를 고갈시키지도 않고 지구를 오염시키지도 않으며 미래를 저당 잡히지 않으면서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을 전부 해 왔다. 이보다 더 좋은 모델이 어디에 있겠는가. 2024-12-13 김사름 기자 이인식은...
0


기획 | 역할 커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변화 대응,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기후위기 시대에 해양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예측하는 핵심 기관으로, 해양 기후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 연구를 통해 국가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
1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생태와 산업의 경계선, 아쿠아컬쳐와 아쿠아포닉스
박진희 2024-10-18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도시 텃밭으로 수경재배가 소개되다니 15년 전 농촌으로...
0


임재민 |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ㅣAI와 지속가능한 에너지체계
황희정 기자 2024-10-18 임재민은 대학에서 행정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재직했다. 현재는 에너지전환포럼에서 사무처장으로 일한다. 2019년도 탄소중립위원회가 만들어지기 전, 대한민국 2050년의 비전에 대해 논의하는...
0

오정익 | '법무법인 원' 변호사ㅣAI와 리걸테크(legal-tech)
황희정 기자 2024-10-18 오정익은 2009년 제51회 사법시험 합격, 현재 '법무법인 원'의 구성원 변호사다. 2023년 8월부터 1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기 인공지능 법제정비단 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변호사협회...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