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한반도의 지정학
한반도의 지정학적 표현에 관한 내용으로, 토끼와 호랑이 형상, 칼날과 교두보, 완충지대와 협상의 공간 등 다양한 관점을 다루고 있다.
0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기후위기 뒤에 숨은 검은 손, ‘군산복합체’
군산복합체 기후위기 영향, 군산복합체의 막후 영향력으로 인해 기후변화 대응이 지연되어 왔다. 트럼프 정부에서는 군산복합체를 개혁하겠다는 움직임이 있어 주목된다.
0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북극항로는 열리고 소말리아 해적은 준다
기후변화로 북극항로가 열리면서 해상운송 혁신이 예상되지만, 새로운 갈등의 가능성도 존재하여 소말리아 인근 해역의 대해적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풍랑이 예고되고 있다.
0

1타 중국 철학자 | 심학(心學)의 성립, 모우쫑산 4
2025-03-20 윤지산 외세 대항의 세 양상을 소개하고 중국 철학자 슝스리의 '심학(心學)' 사상이 성립되는 배경을 살핀다. 량차차오, 량수밍의 문제의식을 이어서, 슝스리는 '과학으로는 인간을 설명할 수 없다'며, 인간 본성은 도덕적이라며...
0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기후변화와 북핵, ‘연결된 위기’와 ‘융합적 해법’을 주목하자
기후변화와 북핵 위기, 북핵과 기후변화 문제는 연결된 위기이며, 군비 통제와 축소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핵군축 노선을 주목하면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한반도 비핵지대 창설을 제안한다.
0


기획 | 식량 위기, 기후위기의 또 다른 이름
기후위기 식량안보 위기, 기후위기로 인한 식량안보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국제 갈등과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성을 저하시켜 전 세계적인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하고 있으며, 취약국가인 한국은 식량자급률 제고와 탄소중립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0


기획 | 「양곡관리법」 을 거부한 정부, 울고 싶은 농심(農心)
주요국 농업법 변화, 주요국 농업정책 동향을 살펴본 기사로, 미국의 농업법, 일본의 '식료·농업·농촌기본법', EU의 공동농업정책, 한국의 '양곡관리법' 개정 논쟁 등을 다루었다.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노력들이 나라마다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
0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기후변화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전쟁 영향력, 기후변화로 인해 사라지고 있는 러시아의 겨울은 모스크바 방어와 천연가스 수출 등 러시아의 국가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일본 총리의 방북설과 남북 관계
일본 총리 방북 전망, 일본 총리의 북한 방문설과 관련해, 남북협력과 통일지향 vs. 한반도에 두 개의 코리아 승인이라는 두 가지 방향을 놓고 치열한 논의가 필요하다.
1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뉴딜의 설계자, 노동자의 수호자, 그리고 불굴의 개혁가, 프랜시스 퍼킨스
미국 역사상 최초 여성 연방 장관이었던 프랜시스 퍼킨스는 뉴딜 정책의 실질적 설계자로,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획기적인 법안을 추진했다. 그녀의 신념과 용기는 현재까지도 노동자와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는 이들에게 영감을 준다.
0


뒷날 풍경ㅣ우크라이나를 위한 비가(悲歌)
우크라이나 전쟁과 새로운 세계질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시사점을 다룬다. 지정학적 현실로 볼 때, 세계는 힘으로만 결정되는 새로운 질서에 진입했다. 자국의 역사와 한계를 경시하는 국가는 파멸할 것이다.
0


기후와 경제ㅣ우크라이나 전쟁이 만든 환경적 역설
우크라이나전쟁 기후위기 영향, 우크라이나 전쟁이 기후위기에 미친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단기적으로 화석연료 사용 증가와 환경 파괴를 초래했지만,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이 지속되는 한 기후 대응은 뒷전이다.
0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트럼프, ‘기후 빌런’과 ‘피스메이커’ 사이에서
트럼프의 기후 후퇴과 종전. 트럼프는 '기후 빌런'이면서도 러-우 전쟁 종전을 위해 '피스메이커'로 나서고 있다. 이 모순된 행보에 대한 분석이 제시된 기사이다.
0


지오북ㅣAI는 선하지 않다
AI 윤리 범죄 위험성.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기에 법적 제재가 필요하다. 대용량 언어모델은 개인정보 탈취와 허위 정보 생성이 가능해 윤리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0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우크라이나 해법은 영세중립국
우크라이나 전쟁 영세중립국 해법,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냉전 이후 서방의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비극이라고 분석하며, 유엔 주도의 영구중립국 체제를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0


현장취재 | 한상엽 | 기후테크 투자자 이야기
기후테크 투자 현황 분석, 기후테크 투자 위축 속 기회와 과제 탐색 - 한상엽 대표가 소풍벤처스에서 바라본 한국 기후테크 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략을 제시하다.
0


기획 | 원자력과 천연가스, 과도기적 에너지의 재등장
원자력 천연가스 브릿지에너지, 원자력과 천연가스가 탈탄소 에너지 전환에서 단기적으로 불가피한 '브릿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독일, 프랑스의 관련 정책과 IEA의 전망을 살펴본다.
0


뒷날 풍경ㅣ미국 그리고 우리의 80년대
한국 80년대 운동권 역사, 1980년대 한국의 정치 흐름과 운동, 당시 미국에 대한 인식 변화의 역사를 조명하며, 현재 우리 사회의 양극화와 증오 문제로 이어지는 궤적을 탐구한다.
0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유엔에서 대표권을 갖는다는 것
유엔 대표권과 일본외교, 유엔에서 대표권을 갖는다는 의미와, 한일 및 북중 관계에서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2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군사력의 역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
군사력과 기후위기 해결, 정욱식은 군사력의 역설적 특성과 기후변화와의 관계를 설명하며, 군사주의에 빠져 있는 한국이 '기후악당'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군사력은 비생산적이지만 국가안보에 필수적이며, 막대한 자원을 소모하지만 평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