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기후변화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전쟁 영향력, 기후변화로 인해 사라지고 있는 러시아의 겨울은 모스크바 방어와 천연가스 수출 등 러시아의 국가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뒷날 풍경ㅣ우크라이나를 위한 비가(悲歌)
우크라이나 전쟁과 새로운 세계질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시사점을 다룬다. 지정학적 현실로 볼 때, 세계는 힘으로만 결정되는 새로운 질서에 진입했다. 자국의 역사와 한계를 경시하는 국가는 파멸할 것이다.
0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트럼프, ‘기후 빌런’과 ‘피스메이커’ 사이에서
트럼프의 기후 후퇴과 종전. 트럼프는 '기후 빌런'이면서도 러-우 전쟁 종전을 위해 '피스메이커'로 나서고 있다. 이 모순된 행보에 대한 분석이 제시된 기사이다.
0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우크라이나 해법은 영세중립국
우크라이나 전쟁 영세중립국 해법,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냉전 이후 서방의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비극이라고 분석하며, 유엔 주도의 영구중립국 체제를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0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유엔에서 대표권을 갖는다는 것
유엔 대표권과 일본외교, 유엔에서 대표권을 갖는다는 의미와, 한일 및 북중 관계에서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2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중국은 미국을 이겼는가
미중패권 체제 변화, 미국 쇠퇴와 중국 부상의 필연적 과정을 분석한 키쇼르 마흐부바니의 『중국은 승리했는가?』에서, 미국은 현실을 직시하고 협력을 선택하여 새로운 질서를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0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삼각관계의 지정학
동아시아 삼각 지정학 관계, 냉전시대 미소 갈등 속에서 일본이 접근한 소련, 중국과의 관계 변화를 통해 자율성을 높여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난 다양한 삼각 관계의 전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0


안병진 | 신냉전을 넘어 '생명공화주의'로의 전환으로
신냉전 시대라는 인식을 갖고 인류가 생존하기 위한 새로운 가치를 찾아야 2024-11-07 박성미 총괄 안병진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planet03 DB 안병진 교수는 현재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강대학교에서...
1


지구와 정치ㅣ윤효원ㅣ“북한군 러시아 파병“, 객관적 증거가 없다
윤효원 2024-11-01 윤효원 아시아 노사관계 컨설턴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감사 |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고위험 갈등 상황에서 보도 내용은 철저히 검증해야 연일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견되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원하고 있다는...
0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동아시아 평화의 조건과 ‘대동아지정학’적 사유의 충돌
2024-10-18 송병권 / 상지대학교 교수 2011년 일본 토쿄대학교 대학원에서 한미일 관계를 중심으로 한 지역주의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7년간 편사연구사로 일했고, 다음 7년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와...
0


지구와 정치ㅣ윤효원ㅣ식민주의 청산, 1997년 중국의 홍콩과 1961년 인디아의 고아
윤효원 2024-10-4 윤효원 아시아 노사관계 컨설턴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감사 |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중국은 외교적으로, 평화적으로 홍콩 회복 중국 영토인 홍콩이 영국 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하기 시작한 때가 1841년이다. 영국이...
0


지구와 정치ㅣ윤효원ㅣ일제가 항복한 진짜 이유
윤효원 2024-09-20 윤효원 아시아 노사관계 컨설턴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감사 |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원폭 투하로 일본이 항복했다는 허구 1945년 이뤄진 미국의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가 일본을 항복시키는 데 결정적인...
0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아시아태평양전쟁, 피할 수 있었던 전쟁이었나?
2024-09-05 편집자 주 [동아시아 종과 횡]은 한반도의 남쪽에 사는 우리들에게는 너무나 리스키하지만, 국외에서는 국제관계 연구에 최첨단 지역연구 대상이 되어버린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를 시간적으로 종단하고, 공간적으로 횡단하는 역사적...
0


연재 | 뒷날 풍경ㅣ투키디데스와 전쟁 애호가들 2
최은 2024-08-29 최은 출판 기획자 지방에서 나고 자랐지만 생의 절반 이상을 서울시민으로 살고 있다. 사회생활은 노동계에서 시작했고, IT업계를 거쳐 몇 권의 책을 기획했다. 어쩌다 보니 10년째 야간 노동을 하면서 사람들을 만난다....
0
![[사설] 신 보수주의와 영원한 전쟁](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5a5272637264920bae4b91bbd9a3464~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95a5272637264920bae4b91bbd9a3464~mv2.webp)
![[사설] 신 보수주의와 영원한 전쟁](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5a5272637264920bae4b91bbd9a3464~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95a5272637264920bae4b91bbd9a3464~mv2.webp)
[사설] 신 보수주의와 영원한 전쟁
김용만 대표 편집인 우리는 70년 가까이 전쟁 없는 시기를 보내고 있다. 두 세대를 넘는 시간이다. 그래서 그런지 세계가 원래 평화로운 곳이라는 착각에 쉽게 빠진다. 하지만 이 지구가 그리 평화로운 세상은 아니다.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 전쟁이...
0
![[사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막을 방법은 이제 없는 것인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0a8214423c74eb994575118260a6644~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e0a8214423c74eb994575118260a6644~mv2.webp)
![[사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막을 방법은 이제 없는 것인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0a8214423c74eb994575118260a6644~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e0a8214423c74eb994575118260a6644~mv2.webp)
[사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막을 방법은 이제 없는 것인가?
김용만 대표 편집인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는 지난 7일부터 오염수의 8차 방류를 시작했다. 이번 방류는 지난달에 이어 올해 들어 4번째다. 오염수 방류량은 기존과 같은 약 7800톤이고 오늘 25일까지 실시된다. 이에 주일중국대사관은...
0


연재 | 뒷날 풍경ㅣ투키디데스와 전쟁 애호가들 1
최은 2024-08-01 최은 출판 기획자 지방에서 나고 자랐지만 생의 절반 이상을 서울시민으로 살고 있다. 사회생활은 노동계에서 시작했고, IT업계를 거쳐 몇 권의 책을 기획했다. 어쩌다 보니 10년째 야간 노동을 하면서 사람들을 만난다....
0


지구와 정치ㅣ윤효원ㅣ김정남 '암살'과 한국계 CIA 요원의 ‘숙청’
윤효원 2024-07-26 윤효원 아시아 노사관계 컨설턴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감사 |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전직 CIA 요원, 박정현 미국에서 공직을 차지한 한국계 미국인 가운데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에 임명된...
0


이송희일 | 기후위기의 시대에 춤을 추어라
이유경 기자 2024-07-22 이송희일 감독은 사회학을 전공했다. 1999년 첫 단편영화를 만든 이후 25년째 영화를 만들고 있다.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지만 가끔 글을 쓰기도 한다. 『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 』 을 출판했다. 영상과...
0


지구와 정치ㅣ윤효원ㅣ1955년 반둥, 오래된 미래
윤효원 2024-07-12 윤효원 아시아 노사관계 컨설턴트 IndustriALL Global Union 컨설턴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감사 |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비동맹운동의 출발지, 인도네시아 반둥 인도네시아 노동조합 교육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