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년인터뷰 | 녹색연합 박은정 팀장 | 2025년 환경단체에 주어진 과제
환경운동가 기후위기 대응, 환경운동가 박은정이 녹색연합에서의 7년 간 활동을 회고하며, 2025년 새로운 역할인 정책대응의 과제를 밝힌다. 윤석렬 정부의 반환경 정책을 비판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0

![[사설] 2025년 피해갈 수 없는 기후 쟁점](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webp)
[사설] 2025년 피해갈 수 없는 기후 쟁점
2025년 기후위기 쟁점, 2025년 불가피한 기후 문제와 해결책에 대해 다루고 있다. 탄소 흡수원 확대, 플라스틱 규제, 에너지 전환, 인공지능 활용 등 다양한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1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하)
산불피해지 숲 복원방법, 산불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복원 및 인공조림을 통한 숲 복원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산불 피해 정도에 따른 복원 방법의 장단점과 실제 복원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0


지오북ㅣ최악의 산불, 포트 맥머리에서 배운다
포트맥머리 산불 교훈, 이 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증가와 그 사회적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룬다. 포트 맥머리 산불을 중심으로 화석연료 산업, 도시화, 극한 기후 등 요인들이 어떻게 산불 발생을 가중시켰는지 설명한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양곡관리법은 전국민을 위한 법이다
기후위기 양곡관리법 필요성, 일본 사례를 통해 쌀 부족 위기를 직면한 대한민국의 양곡관리법에 대한 견해를 다룬 글이다. 저자는 쌀이 국민의 주식이므로 정부가 쌀 비축을 통해 공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양곡관리법 시행을 촉구하고 있다.
0


어스파머 | 30년 발효장을 이어 온 '무량수' 정병우 대표의 걱정
기후변화 전통장류 위기, 영주의 전통 장류 제조업체 '무량수'의 정병우 대표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겪는 어려움을 전하다. 지역 특산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환경 보호와 혁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0


지오북ㅣ절망에서 희망으로, 우리는 지구를 구할 마지막 세대
환경위기 희망 해결책, 절망에서 희망으로, 한나 리치와 제인 구달이 보여준 지구 살리기의 구체적 방법들이다. 실증적인 데이터를 통해 환경 위기를 돌이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 개인과 지역사회의 실천을 통한 변화를 이야기한다.
0


인사이트 | 이인식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
자연의 생물들은 화석연료를 고갈시키지도 않고 지구를 오염시키지도 않으며 미래를 저당 잡히지 않으면서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을 전부 해 왔다. 이보다 더 좋은 모델이 어디에 있겠는가. 2024-12-13 김사름 기자 이인식은...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건조함이 만드는 숲
건조기후 향신료 숲, 건조한 지중해 기후에 적응한 향기로운 식물들을 소개하고, 이런 식물들의 2차 대사산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0

‘플라스틱협약(INC-5)부산시민행동', 부산으로 가는 길
황희정 기자 2024-11-22 김추종 대표가 이끌고 있는 자원순환시민센터는 이번 11월 23일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성안시키기 위한 ‘플라스틱협약(INC-5)부산시민행동(약칭 플라스틱부산행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
![[사설] 기후변화와 스포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3df30756e4df498e9911a32a8778c7f3~mv2.pn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c15d53_3df30756e4df498e9911a32a8778c7f3~mv2.webp)
[사설] 기후변화와 스포츠
기후위기 시대, 인류의 체육 활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김용만 대표 편집인 지난 여름 파리에서 열린 제33회 올림픽 개막식의 압권은 셀린디옹의 열창이었다. 셀린디옹은 세계적 팝스타이지만 2022년 ‘강직인간증후군’이라는 희귀신경질환을...
2


특별기고 | 스펙터클 스포츠의 종말과 신유목민의 사회
2014-11-14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 연구소 소장 김현우 소장은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0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스포츠
황희정 기자 2024-11-15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은 100% 인공 눈이었고 인공 눈을 만드는 데 쓰인 물의 양은 1억명이 하루에 마실 양이었다. 사진 베이징올림픽 스포츠계도 피하지 못한 기후위기 타격 기후위기는 이제 더 이상 가설이...
0


이대택 | 기후위기의 시대, 스포츠의 생태계를 살려야
운동생리학을 전공한 이대택 교수가 말하는 기후위기의 시대, 스포츠권', 그리고 스포츠에 대한 편견 없애기 2024-11-13 박성미 총괄 이대택은 국민대학교 체육대학 교수로 지구의 자연 환경에 인간이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연구한다. 연세대학교...
5


이경희 | 북의 기후 문제 심각하고 절박해, 남북이 지금 당장 공동 대응해야
북한의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하고 절박하다고 말하는 이경희 박사는 남북한이 지금 당장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파리기후협약을 활용해 북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한반도 안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1


기획 | 역할 커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변화 대응,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기후위기 시대에 해양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예측하는 핵심 기관으로, 해양 기후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 연구를 통해 국가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
1


해양학자에게 듣는다 | 권민호 박사ㅣ해양수온 이미 최고치,국민에게 빨리 알려야
2024-10-25 황희정 기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후예측센터장 권민호 박사 권민호는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를 졸업한뒤,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장기 기후 변동에 대한 연구로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와이대...
1

국종성 | 점진적 기후변화보다 급격한 기후변화에 관심가져야
2024-10-25 황희정 기자 국종성은 1976년에 태어나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과 학사, 석사를 받고 동대학 지구환경과학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연구센터 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지구기후변화연구센터 책임연구원,...
1


가치소비ㅣ카본코리아(KARBON KOREA)ㅣ국내 최고의 CCUS기술로 기후위기 극복에 기여
2024-10-18 황희정 기자 국내 최고의 CCUS기술 보유 기업 카본코리아는 국내 최고의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카본코리아의 대표인 김경진 CEO를 만났다....
0


생태포럼 | 김우성 | 탄소가 만드는 숲 (상)
2 024-10-10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늦었지만 빠르게 가을이 왔습니다. 온몸이 사시나무처럼 떨리는 계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사시나무는 추위에 약한 나무일까요? 왜 오들오들 떠는 모습을 상징하는 존재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