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곽현용 | 한살림연합 | 가치소비가 생명농업을 지속시킨다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양성욱 촬영기자 2024-03-21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1999년부터 경기도 여주로 귀농해 농사지었다. 유기농법을 쓰면서 직거래를 열었고, 규모가 점차 커져서 한살림 경기동부 생활협동조합을 창립했다....
0

이의철ㅣ전문의ㅣ기후위기와 기후미식
황희정 기자 2024-03-20 이의철은 직업환경의학 및 생활습관의학 전문의다. 14년 전부터 식물성 식사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인들이 겪는 다양한 만성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힘쓰고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부속의원 원장과...
0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https://i.ytimg.com/vi/7ErKuXByRto/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
김용만 대표 편집인 인간은 먹지 않으면 살 수 없다. 자연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는 존재다. 식량 확보는 인류의 오랜 숙원이고 이를 위해 전쟁까지 불사하곤 했다. 인류사는 먹거리 투쟁사라고 볼 수 있다....
0


송원규 | (사)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 지구와 인간이 상생하는 '대안적 먹거리 체계'
송민경 기자, 양성욱 영상 2024-03-14 송원규는 농과대학을 졸업한 후 농민단체에서 활동했다. 이후 석박사과정에서 유통구조와 직불제를 연구했으며 농식품경제학에서 로컬푸드, 지역 먹거리 정책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왔다. 농민의 입장에서...
0


기획특집 | 생태정치포럼, 22대 총선에 제안한다
2024. 03.03 '생태정치포럼'(제종길, 전재경, 윤여창 공동대표)이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맞아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정치'를 제안했다. 생태정치는 기후위기의 원인을 생태계 파괴로 규정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탄소배출을...
0


현장취재 | 야4당 시민사회 공동토론회 | 22대 총선 정책 과제 | '한반도 평화와 기후위기 극복의 방안 '
박성미 총괄 김진아 기자 송민경 기자 2024-02-28 인사말하는 자유언론실천재단 이부영 명예이사장 지난달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한반도 평화와 기후위기 극복의 방안'을 주제로 '22대 총선 정책 과제, 야4당 시민사회...
0


제5강 산림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정책 이슈 | 배재수
강의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원장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산림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정책 이슈: 산림자원의 장기 변화를 중심으로 저는 원장이 되기 전, 작년까지 연구했던 사람입니다. 산림정책사를 전공했어요. 역사 전공인데, 궁금했어요....
0

특집 | 생물다양성 복원, 근본적 변화와 실천이 필요
송민경 기자 2024-02-22 기후위기 논의는 생태계의 복원으로 귀결된다. 생태계의 복원은 '생물종다양성' 회복이라고 학자들은 지적한다. 생물종다양성은 왜 중요한지, 현재 지구의 생물종다양성은 얼마나 파괴되었는지를 지표를 통해 알아본다....
0

![[사설] '기후유권자'는 틀렸다](https://i.ytimg.com/vi/QVo2WF3-FP8/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유권자'는 틀렸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1%의 힘’이라는 책이 있었다. 저자 가마타 미노루는 1% 더, 누군가를 위해 산다면 자신 뿐만 아니라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제안한다. 누군가를 위한 1%가 사회를 바꾸고 1%에는 세계를 바꾸는...
0


제종길 박사ㅣ해양생태학자ㅣ바다를 알아야 대응할수 있다
황희정 기자 2024- 02-22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0


현장취재 | 기후위기 대응, 기상·해양·산림 융합 세미나
황희정 기자 2024-01-23 환경일보와 국립강릉원주대, 한국산림경영인협회가 공동 주최한, ‘기후위기 대응, 기상·해양·산림의 융합 세미나’가 지난 달 23일 강릉 세인트존스 호텔 바부다홀에서 ‘산은 바다를 그리고, 바다는 산에 색을 입힌다’를...
0


제3강 기후변화와 산림 그리고 탄소 | 손요환
강의 손요환 고려대 교수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고려대학교 손요환 교수는 기후변화와 산림의 관계를 연구하며, 탄소 저장과 흡수의 균형이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88%는 화석연료 연소, 12%는 산림 벌채로...
0

인사이트 | 410총선을 가다 | '생태정치' 출사표 던진 청년 김우성
박성미 총괄 황희정 기자 2024-02-06 4.10총선에 '생태정치'라는 화두를 가지고 나타난 청년이 있다.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를 졸업하고, 석사까지 마친 김우성은 박사과정을 포기하고 고향인 울산으로 내려갔다. 울산 환경교육센터와 울산...
0

특별취재 | 세계의 기후 및 생태 관련 소송
송민경 기자 2024-02-08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의 ‘그랜섬 기후변화환경연구소’의 ‘기후소송 글로벌 트렌드 2023(Global Trends in Climate Litigation 2023)’ 보고서에 의하면 1986년부터...
0

WWFㅣ세계 최대 비영리 자연보전기관
황희정 기자 2024-02-06 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는 1961년 설립되었고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600만 명 이상 후원자의 도움을 받으며, 활발하게 활동하는 세계 최대 비영리 자연보전기관이다....
0

제2강 국내외 탄소중립 전략과 산림의 역할 | 김정인
강의 김정인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2024-01-12 김정인 교수는 중앙대학교 경제학부의 명예교수입니다. 그의 연구 분야는 녹색성장론이며, 교육적 배경으로는 1993년 University of Minnesota-Twin...
0


미래학자 | 홍진규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 | 관측과 대기모델을 통한 검증이 필요
대담 홍진규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교수 김우성 자연과 공생연구소 사건들은 지구 표면 근처에서 일어납니다 저는 기상학, 대기과학 중에서 지상 근처에 있는 공기의 특성을 연구합니다.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생물들은 지상으로부터 1~2km 안에서...
0

박병상 |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 생태가 없으면 생존도 없다
송민경 기자 2024-02-06 박병상 소장은 '60+ 기후행동' 상임대표.인천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인천 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인하대학교 생물학과에 입학해 생물학 박사가 된 지금까지 인천을 떠나지 않고 활동하고 있다. ...
0

이유진ㅣ녹색전환연구소 소장 | 유권자를 찾아가다
황희정 기자 2024-02-06 사진 : 이유진 planet03 DB 이유진은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며 지역에너지 전환 전국네트워크 ( GUSSWO )의 공동대표이다. 국무총리 그린뉴딜 특보, 서울에너지공사 비상임 이사를 역임 했다. ...
0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 '탈성장'은 이미 존재했다
박성미 총괄 2024-02-08 사진: planet03 DB 김현우 소장은 '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연구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