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물 부족 시대의 유전자 혁신
유전자가위 가뭄저항성 작물, 유전자 가위 기술로 가뭄내성 작물 개발이 가능해지면서 물 부족 시대의 농업 혁신이 기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0


기획 | 농업정책이 가져온 비극, 필리핀의 교훈
필리핀 쌀 수입 위기, 필리핀이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 된 이유는 기후 위기와 부적절한 정책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필리핀의 쌀 생산이 감소하고 있으며, 식량 안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1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영농형 태양광, 에너지 농사도 함께
영농형 태양광 에너지 사업, 영농형 태양광의 장점과 에너지 자립 농촌 사례를 소개하며, 농작물 보호와 전력 생산이 공존하는 '에너지 농사'의 미래를 기대한다.
0


현장취재 | 진중현 | 기후위기 시대, 벼 육종학자로 살기
기후위기 벼 육종연구, 기후위기 시대, 기후 변화에 강한 벼 품종 개발에 앞장서는 식물육종학자 진중현 교수의 경험과 연구 활동을 소개한다.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재래종 벼의 비밀을 밝혀내어 침수 및 염분 내성이 강한 신품종 '세소'를 개발했다.
0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시작은 들어오는 게 아니라 세우는 것, 입춘
농사 기후변화 철학, 음력 정월 눈이 많으면 7월에 비가 많이 온다는 할머니의 지혜. 달라진 기후에 맞춰 상업농 이전의 농사법이 회복탄력성이 높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