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물 먹는 하마, AI데이타 센터
AI 데이터센터 물소비량, AI 시대 데이터센터가 많은 물을 소모하는 이유는 증발식 냉각 시스템 때문이다. 이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지만 물 사용량이 많아 기후위기와 물부족 시대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0


인사이트 | 조인호 | 시민형 AI로 기후위기에 맞서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포스트AI'의 조인호 대표는 거대 AI 중심의 접근을 넘어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생활 밀착형 AI로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5-03-06 박성미 총괄 조인호 포스트에이아이 대표이사 (...
0


기획 | 생성형 AI의 그늘: 데이터센터
AI 환경오염 영향, AI의 급증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증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전력 수요 증가, 물 사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환경친화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0


지오북ㅣAI가 지구를 삼키고 있다
AI 환경파괴 실태, AI가 지구의 자원을 탐닉하며 성장하고 있다. 채굴과 데이터 센터 운영으로 인한 환경오염, 노동력 착취 등 AI의 기술적 성과 뒤에 숨겨진 그림자를 조명하고 있다.
0

오정익 | '법무법인 원' 변호사ㅣAI와 리걸테크(legal-tech)
황희정 기자 2024-10-18 오정익은 2009년 제51회 사법시험 합격, 현재 '법무법인 원'의 구성원 변호사다. 2023년 8월부터 1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기 인공지능 법제정비단 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변호사협회...
0


기획 ② | 노벨상이 쏘아 올린 AI시대
2024-10-16 <편집자주> 2024년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은 전통적인 물리학자나 화학자가 아니라 인공지능을 연구했거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과학자들이 선정되었다. 2023년 ChatGPT로 세상이 놀래고 있는 사이에 2024년 노벨상위원회는...
0


기획 ① | AI가 없는 세상은 더 이상 없다
2024-10-16 <편집자주> 2023년, ChatGPT가 출시되었다. 불과 2개월 만에 1억 명의 사용자가 생성되었고 ChatGPT는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소비자 어플리케이션이 되었다. 컴퓨터나 인터넷, 핸드폰 없는 인류를 상상할 수...
0


기획 ③ | AI와 기후위기
2024-10-16 <편집자주> AI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해서 AI가 만들어 낼 사회적, 윤리적 영향을 모두 알고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우리는 충분히 알지 못하며, 이는 정확한 정보에 근거한...
0


가치소비ㅣ리맨(REMANn)ㅣ재제조를 하는 사람들
황희정 기자 2024-10-04 리맨, 디지털 기기를 재사용, 재제조하는 사람들 리맨은 2008년 시작한 디지털 기기 전문 자원순환기업이다. 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등 주변기기를 자원순환의 원칙에 따라 최대한 재사용, 재제조를 하고, 나머지는...
0


생태포럼 | 김우성 | 디지털 세상에 만드는 숲
2 024-10-03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아빠, 새 덕후 영상 봐도 돼?” “물론이지. 하지만 더 좋은 건 우리 주변의 새를 너의 눈으로 직접 관찰하는 거란다.” 드론 카메라가 대자연의 모습을 고화질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