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수경 | 에너지 공학자를 대통령으로 선택한 멕시코
박수경 2024-07-12 멕시코에서 원주민공동체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주민 사회에 대한 관심을 출발점으로 삼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문화, 사회, 정치 등에 대해 연구하고 강의한다. 옮긴 책으로는 『식인의...
0


오광선 교무ㅣ원불교환경연대ㅣ배은이 아닌 보은을 해야 한다
이유경 기자 2024-07-11 원불교 의왕교당 교무이면서 원불교환경연대의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어릴 적부터 기도하는 어머니를 보며 자랐다. 고등학교 때 자취하면서 선배들이 나누는 원불교 이야기를 듣고 교당에 다니게 되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0


임현호 신부ㅣ천주교 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ㅣ자연은 또 하나의 약자다
황희정 기자 2024-07-11 임현호 신부는 신학대학교에서 실천신학 중 사회사목을 전공했다. 지금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환경사목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자연은 또 하나의 약자다 전공은 실천신학 중 사회사목이어서 가장 가난하고 힘없는...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쉽게 비관하지 않는 법
박소연 2024-07-05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이재경ㅣ기후를 '돌봄'으로써 감축에 도달해야 한다
황희정 기자 2024-07-04 이재경 박사는 지역 ·행복·세대 관련 연구자로 지역에서 청년들과 함께 먹고사는 문제에 관심이 많다.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생태문명원의 연구위원, 국민총행복연구소 소장, 삼양로컬랩사회적협동조합 이사,...
0


한윤정 | '기후 돌봄'의 철학적 확장성
황희정 기자 2024-07-04 한윤정 대표는 기후 위기와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이라는 문제를 환경인문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글을 쓰고 책을 편집하며 행사를 조직한다. 현재 한신대학교 생태문명원 공동대표, 생태전환 매거진 『바람과 물』 편집인이다....
0


권범철 | 생태적지혜연구소 | '돌봄'은 현존하는 질서와의 싸움이다
이유경 기자 2024-07-04 도시사회학을 전공했다. 현재 계간 『 문화/과학 』 편집위원, 생태적지혜연구소 협동조합 부소장, 동아대학교 융합지식과사회연구소 연구원, 한신대학교 생태문명원 연구위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강사로 활동하고...
0


인사이트 | 박태주 | 노동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삶
이유경 기자 2024-06-20 노동경제학과 경영학을 전공했다. 1970년대 중반 학생운동이 활발하던 때, 사회 변혁에 대해 '믿거나 말거나'로 생각했었고, 그 주체가 노동자라고 봤다. 일명 ‘공활’을 다니며 공장으로 들어가 노동을 체험하기도...
0


오성희 |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국제국장ㅣ계급적 관점으로
황희정 기자 2024-06-20 오성희 국장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했다. 민주노총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 본부 사무처에서 2006년~2010년 선전홍보부장, 2010년~2015년 국제부장을 역임하고 2015년~2017년 전국금속노동조합...
1


지오북ㅣ『녹색 계급의 출현』ㅣ아직도 녹색이 되지 못한 인간들이여
이유경 기자 2024-06-06 브뤼노 라투르, 니콜라이 슐츠 저, 『녹색 계급의 출현』을 읽다 기후 위기와 생태계 문제를 논할 때 종종 좌파냐는 질문을 듣는다. 변화와 안정 중에서는 변화를 선호하면서 월급을 받고 살아가는 노동자이기에...
0


생태포럼 | 사람의 손으로 만드는 숲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2 024. 05. 24 우리는 창밖으로 초록색 풍경을 봅니다. 소파에 앉아 거실 창밖으로, 혹은 달리는 차창 밖으로 초록색 숲을 봅니다. 문을 나서면 정원과 가로수를 만나고 조금 더...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정의로운 전환', 어떤 전환을 만들까?
박소연 2024-06-07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박병상 |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 생태가 없으면 생존도 없다
송민경 기자 2024-02-06 박병상 소장은 '60+ 기후행동' 상임대표.인천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인천 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인하대학교 생물학과에 입학해 생물학 박사가 된 지금까지 인천을 떠나지 않고 활동하고 있다. ...
0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 '탈성장'은 이미 존재했다
박성미 총괄 2024-02-08 사진: planet03 DB 김현우 소장은 '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연구와...
0


김경문ㅣ성공회대총장 | 기후변화의 피해는 가난한 사람, 소외된 사람들에게 먼저 찾아와
기후, 숲, 생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우리는 태양계의 세 번째 행성 지구의 주민으로서 자연과 공생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대정신을 담은 미디어 플래닛03의 창간을 위해 애써주신...
0

오창길 | 자연의벗연구소 이사장 | 문제를 해결할 정보를 제공하고, 기후 변화의 대응 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장
오창길 | 자연의벗연구소 이사장 자연의벗연구소에서 플래닛03의 개국 축하 인사를 전합니다. 기후, 숲, 생태에 관한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새로운 미디어 플래닛03은 기후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환경...
0


김호ㅣ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ㅣ전문가 담론을 대중화
김 호 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 Planet03의 창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최근 기후 위기가 심화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이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해법은 서로 다른 게 생각합니다. 인간이 이제까지 누려온 것들을 전혀 포기하지 않으면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