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설] ‘산림환경부’를 생각할 때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71e2f6d3a9d4125a15843b691e835a7~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971e2f6d3a9d4125a15843b691e835a7~mv2.webp)
[사설] ‘산림환경부’를 생각할 때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1967년 산림청이 만들어졌다. 그전에는 농림부 산림국이었다. ‘청(廳)’ 아래 보통 5개의 ‘국(局)’이 있으니 규모가 5배 커진 셈이다.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진행된 치산녹화는 대한민국의 시대 과제였다....
0


제7강 국가산림정책의 수립과정과 실행 구조 | 이창재
강의 이창재 교수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안녕하십니까? 방금 소개받은 충북대학교 초빙교수 이창재입니다. 날이 좀 쌀쌀해졌는데, 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저 기후 숲 생태를 전문으로 하는 미디어 플래닛03이 창간돼서, 산림 쪽에서 일해 온...
0

생태포럼 | 숲은 탄소 저장고입니다
기후변화로 삶의 역사가 변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비가 내리는 날에 촬영한 경주 석빙고의 사진입니다. 석빙고는 겨울에 두껍게 얼어붙은 강의 얼음을 잘라서 저장해 두고, 여름내 쓰기 위해 만든 시설입니다. 석빙고는 1738년에 만들어졌으니...
0

최무열 ㅣ임업후계자협회 회장 | 산이 살아야 나라가 살고, 임업인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최무열 임업후계자협회 회장 산이 살아야 나라가 살고, 임업인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겨울 가뭄 때문에 산에 작물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우리 임업인들은 그것을 체감하며 살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는 생각보다 우리 눈 앞에 와 있습니다. 외면하고 싶어도...
0


미래학자 | 한희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 | 탄소흡수 기능 증진을 위한 산림시업체계 개발해야
대담 한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 김우성 전문기자 2022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 부임한 한 희 교수는 숲을 어떻게 경영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젊은 학자다. 한희 교수가 이끌고 있는 스마트산림경영연구실(SFM Lab.Smart...
0


우수영ㅣ한국산림과학회 회장ㅣ지구생태계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데 큰 기능을 하기를
우수영 한국산림과학회 회장 우리 생태계는 중요한 구성요소들이 있다. 그 가운데 인간과 숲은 아주 중요한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플라톤이 지배하던 철학사상을 지나고 중세를 거치면서 기독교문화에 크게 영향을 받은 서양과학체계의 주인은 인간이었다....
0

제1강 산림생태복원을 위한 국제협력과 우리의 역할 | 이돈구
강의 이돈구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 숲에서 배우면 희망이 보인다. 숲에서도 수많은 갈등이 일어나지만 자연스럽게 조화를 찾아간다. 크고 작은 나무, 동물과 식물, 미생물까지 숲의 구성원은 모두 제각각이지만 안정을...
0


박정희 | 한국산림경영인협회장 | 방치된 숲을 경영되는 숲으로
한국산림경영인협회 박정희회장에게 듣는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