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포럼 참가자 ③ 지역 발전과 가리왕산 복원, 선택의 문제 아니다
'지역 발전과 가리왕산 복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라고 논의하면 안 된다 언급하신 파리올림픽 사례에 대해 조금 정정하고 싶어서 말씀드립니다. 평창올림픽 때도 예산의 대부분이 경기장만이 아닌 SOC 건설에 투입된 것처럼, 파리에서도 올림픽과...
0

![[사설] 극우 언론들의 ‘기후 피로’ 이데올로기](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19114f6e59b44e6a71b715a0adcbdde~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e19114f6e59b44e6a71b715a0adcbdde~mv2.webp)
[사설] 극우 언론들의 ‘기후 피로’ 이데올로기
김용만 대표 편집인 2024년 6월 6일부터 나흘간 유럽의회 선거가 치러졌다. 2019년 이후 5년만이고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한 이후 처음 치러진 선거다. 투표율은 51%로 역대 최고다. 선거 결과는 ‘극우 정당의 약진’과 ‘녹색당의 입지...
0

![[사설] 대한민국 숲, 미래 100년](https://static.wixstatic.com/media/2eee037a71744d5ca4a97dd7e5f9b38a.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2eee037a71744d5ca4a97dd7e5f9b38a.webp)
[사설] 대한민국 숲, 미래 100년
김용만 대표 편집인 “문명 앞에 숲이 있었고 문명 뒤에 사막이 남는다”라는 말은 꽤 알려져 있다. 프랑스 문호이자 외교관이었던 샤토 브리앙이 한 말이다. 인류 문명 발생 이후 지구 산림의 반이 사라졌다고 한다. 2020년...
0


이돈구ㅣ서울대학교 명예교수ㅣ지산지수 지수지인(知山知水 知樹知人)
이유경 기자 2024-05-09 어릴 적부터 물리학을 좋아했던 그는, 산림청이 생길 예정이고, 임학을 전공하면 취직이 쉬울 것이라는 형들말을 듣고 산림과학의 길을 걷게 되었다. 서울대학교와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임학을 전공하며 관심사가 생물과 생태로...
0


윤여창ㅣ서울대학교 명예교수ㅣ생태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이유경 기자 2024-05-09 서울대학교와 워싱턴대학교에서 임학을 전공했다. 전공을 하게 된 이후에야 산에 관심을 가졌고, 학자로서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숲에 대해 연구했다. 숲을 공부하다 보니 학자로서 가진 관심을 넘어 시민으로서 흥미와 애정이...
0


특별인터뷰 | 영화 '땅에 쓰는 시'의 정다운 감독, 김종신PD를 만나다
황희정 기자, 양성욱 영상기자 2024-05-03 땅에 쓰는 시(Poetry on Land) 감독 : 정다운 제작 : 김종신 개봉 : 2024.04.17. 상영시간 : 113분 작품 소개 영화 < 땅에 쓰는 시 >의 주인공은 정영선 조경가다....
0


탐방취재 |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이유경 기자 2024-04-11 2023년 12월 기준, 약 300마리의 반달가슴곰이 뜬장에 갇혀 산다. 180㎝의 성인 남성이 들어가기에도 작은 녹슨 뜬장 안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개사료를 먹으며 하루 종일 철창에 머리를 부딪힌다. 이마와...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비(非)인간 존재들과 살아가는 공간
박소연 2024-04-11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김우성 | 나무는 사람이 죽입니다
김우성 2024-04-05 연재를 시작하며 김우성의 ‘생태포럼'은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산과 들의 생태계에 관한 이야기들을 다룹니다. 또한 제 딸과 아내 한새롬박사와의 삶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너무 깊이 파고들지 않게 노력하겠습니다....
0


기획특집 | 식목일이 필요한 시대
이유경 기자 2024-04-03 왜 4월 5일인가? 677년 4월 5일, 신라 문무왕이 삼국 통일을 기념하며 나무를 심었다. 1493년 4월 5일, 조선 성종은 왕의 소유인 밭을 손수 일궜다. 1910년 4월 5일, 조선 순종은 봄을 기념하며...
0


액티비티 | 엄삼용 | 동강은 최고의 선물입니다
이유경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03 동서강보존본부 엄삼용이사는 강원도 정선에서 나고 자랐다. 영월에 댐이 지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처음 동강을 찾았다. 늘 곁에 있어서 미처 인식하지 못했다. 동강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곳이었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우리가 녹지 빈곤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박진희 2024-04-04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높은 산중에 집이 있어, 숲에 둘러싸여 산다. 푸른 나무,...
0


기획특집 | 쓰레기 없는 지구를 위하여
송민경 기자 2024-03-26 지구는 쓰레기로 질식하고 있다. 이는 성장 중심의 생산과 소비주의가 가져온 결과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회용품과 패스트 패션이 썩지않은 거대한 쓰레기 산을 만들어 냈다. 무심코 버리는 담배꽁초, 음식물,...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인간은 먹이입니다
박소연 2024-03-21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이영미 | 식물식평화세상 대표 | 내가 먹는 것이 내가 원하는 세상과 연결된다
박성미 총괄 2024-03-12 평화밥상 연구가. 식물식밥상 지도사. 20살 무렵 세상의 평화를 고민했다. 결혼 후 밥상을 차리면서 참된 밥상이 무엇인지를 알고 싶었다. 자연식물식을 공부하면서 세상의 평화가 밥상에서 시작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0


한상훈 소장 |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 인간도 야생동물이었다
송민경 기자 2024-02-15 canis.ru.rufus@gmail.com 한상훈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0

미래학자 | 이종구 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교수 | 멸종은 돌이킬 수 없다
대담 이종구 교수 김우성 자연과공생연구소 소장 사진 : 이종구 교수(뒷줄 오른쪽 두 번째) planet03 DB 이종구 교수 국립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이종구 교수는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