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사이트 | 정연숙 강원대 생명과학과 명예교수 | 산불의 교훈
산불피해지 토양복원 방안, 정연숙 강원대 명예교수가 산불 복구 방식의 전환점을 제시하다. 조림 일변도에서 벗어나 토양 보전이 핵심이며, 자연복원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2


김우성의 생태포럼 | 도시가 만드는 숲
도시숲 조성과 효과, 도시 생태계 적응하는 야생생물, 도시숲이 만드는 공기 정화와 기후 조절 효과, 사람들의 휴식과 정서 함양 공간인 도시숲의 가치를 다루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하)
산불피해지 숲 복원방법, 산불이 숲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복원 및 인공조림을 통한 숲 복원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산불 피해 정도에 따른 복원 방법의 장단점과 실제 복원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산불이 만드는 숲(중)
산불 생태계 변화 과정, 산불이 숲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산불로부터 숲이 회복되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산불은 파괴적일 수 있지만 때로는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내용이다.
0

![[사설] 우리가 되돌려 놔야 할 것들, 가리왕산](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a2e2_888c3224f00b4ba8b94ac7c66474485b~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59a2e2_888c3224f00b4ba8b94ac7c66474485b~mv2.webp)
[사설] 우리가 되돌려 놔야 할 것들, 가리왕산
가리왕산 생태복원 과제, 가리왕산 복원은 세계 최초 산림생태복원모델로, 정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가리왕산은 500년간 보존된 생태보고이지만, 평창 올림픽을 위해 훼손되었다. 복원을 위한 계획이 수립되고 있지만,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
1

캐슬린 울프 | '자연'에 대한 경제 가치를 평가하다
황희정 기자 2024-11-01 캐슬린 울프(Kathleen L. Wolf) 박사는 워싱턴대학교 교수로 환경심리학자이자 사회과학자다. 도시 숲과 녹지가 인간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위트만대(Whitman...
0


남준기 | 내일신문 | 과학적 대안으로 정책을 변화시켜야
황희정 기자 2024-10-11 남준기는 경북 안동 출생으로 1993부터 2023년까지 내일신문 기자로 재직했다. 2023년 8월 정년 퇴직 후 환경전문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1994년부터 환경단체 '산과자연의친구,우이령사람들'에서 30년간...
0


곽철우의 블루카본 | 해조류가 육상식물보다 탄소 흡수율 높아
2024-10-04 곽철우 곽철우 박사는 1968년생으로 경남 밀양 출신이다. 1987년 공수특전여단에서 특임대 수중팀에 근무하며 바다를 접했다. 군 작전임무을 수행하기 위한 군사잠수로 잠수 관련 업무를 시작했다. 스포츠잠수, 산업잠수,...
0

![[사설] 가리왕산 복원이 ‘국가정원’ 개발로 둔갑하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26cdb6ef53264c9d9ae4355dfe1e0aa4~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26cdb6ef53264c9d9ae4355dfe1e0aa4~mv2.webp)
[사설] 가리왕산 복원이 ‘국가정원’ 개발로 둔갑하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산림청의 협의체 구성은 불필요한 절차다 산림청은 ‘가리왕산 곤돌라 평가 및 보전, 활용 추진 협의체’를 구성하고 있다. 2021년 국무조정실 주관 ‘가리왕산의 합리적 복원을 위한 협의회’ 합의 내용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0


곽철우의 블루카본 | 바다 식목일과 바다 사막화
2024-09-12 곽철우 곽철우 박사는 1968년생으로 경남 밀양 출신이다. 1987년 공수특전여단에서 특임대 수중팀에 근무하며 바다를 접했다. 군 작전임무을 수행하기 위한 군사잠수로 잠수 관련 업무를 시작했다. 스포츠잠수, 산업잠수,...
0


김용관 | 산림청 산림보호국장 | 충분히 듣고, 의견 수렴해 객관적인 근거에 따라 의사결정할 예정
황희정 기자 2024-06-19 산림청의 산림보호국장 김용관입니다. 먼저 가리왕산에 대해서 너무 관심 가져 주시고 이런 의미 있는 포럼 개최해 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우이령사람들, 우이령 포럼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오늘...
0


종합토론 | 패널 ④ 가리왕산 훼손 산림, 원상 복원할 수 있다
황희정 기자 2024-06-19 산림청은 가리왕산의 산림 복원을 전제로 하지 않고 있다 산림청에서 금년에 연구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가리왕산 문화유산 보존과 효과적 활용 등 산림 효용 극대화 방안 연구' 용역 사업을 한국산림과학회와...
0


종합토론ㅣ패널 ② 생태계 파괴를 기반으로 한 관광자원이 아니라 다른 방식을 찾아야
황희정 기자 2024-06-19 중앙정부와 강원도가 도대체 무엇을 했는가 물어야 한다 오늘의 토론회가 우이령사람들 창립 30주년 기념 토론회라는 것에 무게감이 정말 크다. 1999년에 녹색연합에서 생태팀으로 활동을 하다 보니 오늘 이런 인연으로...
0


발제 ② | 윤여창ㅣ훼손된 산림유전자원 보호림은 복원해야 한다
이유경 기자 2024-06-27 가리왕산은 조선 시대부터 국가가 직접 보호하던 국가보호림 사람들은 숲을 한 가지로만 생각하지만, 숲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숲의 종류에 따라 자연림과 인공림으로 나뉘기도 하고, 소유권에 따라 국유림, 공유림,...
0


생태포럼 | 김우성 | 씨앗으로 만드는 숲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2 024. 06. 20 하나의 작은 씨앗은 뿌리를 내리고 잎을 틔운 뒤, 오랜 시간을 자라 커다란 나무가 됩니다. 누구나 아는 단순한 이야기이지만 씨앗 하나하나가 담고 있는 이야기들은...
0


지오북ㅣ한국인은 왜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가?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를 탐구한 연구신서 발간 기념 세미나를 소개합니다. 조선 후기 유교적 상징성, 국가정책, 접근성 등이 소나무 선호의 역사·문화적 기원이라고 밝히고 있다.
0


현장취재ㅣ시흥, 환경의 날 맞아 시화호를 품다
이유경 기자 2024-06-13 2024년 6월 8일, 경기도 시흥 거북섬 웨이브파크 광장에서 '2024 시흥시 환경의 날 기념행사'가 개최되었다. 국제 환경 주간을 기념하고, 생태계 회복의 상징인 시화호의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시흥시 청소년...
0


생태포럼 | 사람의 손으로 만드는 숲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2 024. 05. 24 우리는 창밖으로 초록색 풍경을 봅니다. 소파에 앉아 거실 창밖으로, 혹은 달리는 차창 밖으로 초록색 숲을 봅니다. 문을 나서면 정원과 가로수를 만나고 조금 더...
0


이창재ㅣ충북대 산림치유학과 초빙교수ㅣ천천히 서둘러라
황희정 기자, 김진아 영상기자 2024-05-13 이창재 원장은 서울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 31년간 산림청에서 근무했다. 남부지방산림청장,...
0


특별인터뷰 | 영화 '땅에 쓰는 시'의 정다운 감독, 김종신PD를 만나다
황희정 기자, 양성욱 영상기자 2024-05-03 땅에 쓰는 시(Poetry on Land) 감독 : 정다운 제작 : 김종신 개봉 : 2024.04.17. 상영시간 : 113분 작품 소개 영화 < 땅에 쓰는 시 >의 주인공은 정영선 조경가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