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구법, 인간 중심 세계관에서 지구 중심 세계관으로
황희정 기자 2024-05-30 자연도 소송을 할 수 있고, 환경단체는 자연물의 법적 후견인이 될 수 있다. 미국 연방대법원 윌리엄 O. 더글러스 대법관이 1972년 시에라클럽 사건에서 주장한 소수의견이 지구법의 선례로 일컬어진다. 시에라클럽...
0


스냅샷 | 가짜 나무, 가짜 달
중랑천을 산책하다 문득 걸음을 멈춰 섰다. 살아서 숨 쉬는 푸릇푸릇한 나무가 곁에 있고, 시간이 되면 달도 훤히 보일 텐데 왜 가짜 나무와 가짜 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을까. 살면서 내내 이상하지 않던 것들이 기후 위기를 느끼면서 되짚어 생각해보는...
0


이창재ㅣ충북대 산림치유학과 초빙교수ㅣ천천히 서둘러라
황희정 기자, 김진아 영상기자 2024-05-13 이창재 원장은 서울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 31년간 산림청에서 근무했다. 남부지방산림청장,...
0


현장탐방 | 배곧고 다음세대 기자단, 고등학생이 만드는 생태환경 기사
황희정 기자 2024-05-15 사진 : 강의하고 있는 플래닛03 박성미 총괄, Planet03 DB 시흥 배곧고등학교, 생태환경신문발행 프로젝트 배곧고등학교에서 ‘생태환경신문발행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기후, 생태, 숲 전문 언론사...
0

스냅샷 | 자연을 대하는 태도
땅에 핀 꽃의 향기를 맡으려면 낮은 자세로 몸을 낮추고 맡아야 하고, 나뭇가지에 달린 꽃을 보려면 고개를 들어 우러러 봐야 한다. 자연은 고개 빳빳이 들고 째려 봐서는 안 되는 존재다. 낮은 자세에서 또는 우러러 보는 자세로, 그 마음으로 대해야...
0


스냅샷 | 지구인
좋은 것, 멋있는 것, 아름다운 것을 보면 가지고 싶고, 사고 싶은 욕망. 이것은 인간의 본능인가, 아니면 누군가에게 철저하게 길들여진 것일까. 냉장고, 에어컨, 자가용을 버렸다. 전기도 끊었다. 장롱 속에 넘치는 옷을 보고 충격을 받아 옷도...
0


스냅샷 | 동물권
대화가 되지 않아 불편했던 동물들입니다. 강아지에게 젖을 물리는 어미의 모습에서 깨달음을 얻습니다. 공장식 축산과 대규모 살처분하는 끔찍한 장면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습니다. 동물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생명이 있는 모든...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패치들 (patches)’, 가까운 변화를 살피다
박소연 2024-04-25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인터뷰 | 김은수 | 과학은 늘 시험대에 오른다, 『스켑틱(SKEPTIC)』
홍석근 기자 2024-04-18 『스켑틱』 한국어판을 이끌고 있는 바다출판사의 김은수 기획편집부 팀장. 사진_ 바다출판사 제공 한국 사회는 과학적 인식과 전통적 관념 사이 어딘가에서 행진 중이다. 우리 사회의 과학적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0


인사이트ㅣ윤호섭 | 호모사피엔스의 자존심, everyday eARThday!
박성미 총괄 2024-04-17 윤호섭은 1943년생으로 서울사대부고등학교를 나와 서울대학교 미대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했다. 1966년 대학졸업후 합동통신사(현 오리콤)의 광고기획실 아트디렉터가 되었다. 1976년, 대우 그룹의 크리에이티브...
0

인사이트ㅣ홍수열 박사ㅣ쓰레기 문제의 답은 생태적 앎에 있다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3-27 홍수열 박사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3년부터 자원순환사회연대 플라스틱위원장, 2019년부터 경기도 업사이클 운영협의회...
0


특별기고 | 어스아워(Earth hour)
김우성 생태정치포럼 운영위원장 2024-03-26 어스아워,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는 한 시간 2024년 3월 23일 토요일 저녁 8시 30분, 우리 집 거실의 전등이 꺼졌습니다. 다른 많은 곳의 전등도 함께 꺼졌습니다....
0

![[사설] 기후운동과 노동운동의 교집합](https://i.ytimg.com/vi/z1MypL_xQYU/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운동과 노동운동의 교집합
김용만 대표 편집인 산업혁명은 자본주의와 노동운동의 출발이다. 또한 지금의 기후위기와 환경운동의 시작점이다. 산업혁명이 잉태한 자본주의는 도시로 노동자를 불러들였다. ‘인클로저’다. 자본가들은 몰려든 사람들을 고용했고...
0

![[사설] ‘커먼스’ 의 귀환](https://i.ytimg.com/vi/CxC161GvMPc/maxresdefault.jpg)
[사설] ‘커먼스’ 의 귀환
김용만 대표 편집인 ‘커먼스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은 미국의 생태학자 개릿 하딘이 사이언스지에 기고한 에세이 제목이다. 개인의 죄의식 없는 이익 추구가 사회 이익의 축소와 파멸을 가져 올 수 있음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