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포럼 참가자 ② '미안해'라고 말해야 합니다
강의 생태와 강의 문화를 가꾸고 세상을 따뜻하게 하고 시민을 행복하게 하는 사회적협동조합 한강에서 활동하고 있는 강고운입니다. 옆에는 제 딸 정세연입니다. 저는 여의샛강 근처에 살며 작년부터 협동조합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100년이면 저는 죽고...
0


포럼 참가자 ③ 지역 발전과 가리왕산 복원, 선택의 문제 아니다
'지역 발전과 가리왕산 복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라고 논의하면 안 된다 언급하신 파리올림픽 사례에 대해 조금 정정하고 싶어서 말씀드립니다. 평창올림픽 때도 예산의 대부분이 경기장만이 아닌 SOC 건설에 투입된 것처럼, 파리에서도 올림픽과...
0


이창국 | 60+기후행동ㅣ노년세대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방식
황희정 기자 2024-05-15 기후 위기는 세계적이고, 국가적이며, 전 지구에 걸친 총체적이고 거대한 난제라고 한다. 인류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일들이 생길 것이라는 공포감도 존재한다. 그러나 각자 발 딛고 서 있는 곳에서, 각자의 직업...
0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webp)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그레타 툰베리는 스웨덴의 환경활동가다. 2018년 12월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 참가해,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 정치인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당시 그는...
0


탐방취재 | 다시입다연구소 | 지극히 개인적인, 결국은 지구적인
이유경 기자, 송민경 영상기자 2024-03-26 패션 산업이 성장며 의류쓰레기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지속가능한 의생활 캠페인을 진행하는 '다시입다연구소'의 정주연 대표는 그 해답을 찾고 있다. ‘누구에게나 가능한 방법'으로 '다시 입을...
0


액티비티 | 시민정치 현장을 가다 | 공동체 운동 | 울산 소호마을 유영순
김우성 객원기자 2024-03-05 내가 행복해야 공동체가 행복하다 유영순씨는 1967년생, 올해 56세, 양띠다. 23년 전 귀산촌해서 울주군 상북면 소호마을에 살고 있다. 마을공동체를 일구어온 1세대 마을활동가다. 4년전부터 모든 직함을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