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액티비티 | 최명애 인류학자 | 생태전환도시포럼: 인간 너머의 생태화
송민경 기자 2024-04-09 지난 3월 29일, 서울환경연합에서 진행하는 '제1차 2024 생태전환도시포럼: 인간 너머의 생태화하는 인간'이 개최되었다.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최명애 교수가 '야생의 도시: 도시 동물과 재야생화'를 주제로...
0


특별인터뷰 |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박사ㅣ리와일딩(Rewilding)을 하는 이유
황희정 기자, 양성욱 영상기자 2024-04-10 김산하는 야생 영장류학자로, 생명다양성재단의 대표이자 사무국장을 맡고 있으며, 제인구달연구소의 ‘뿌리와 새싹’ 프로그램 한국지부장이다. 서울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생명과학부...
0


탐방취재 |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이유경 기자 2024-04-11 2023년 12월 기준, 약 300마리의 반달가슴곰이 뜬장에 갇혀 산다. 180㎝의 성인 남성이 들어가기에도 작은 녹슨 뜬장 안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개사료를 먹으며 하루 종일 철창에 머리를 부딪힌다. 이마와...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비(非)인간 존재들과 살아가는 공간
박소연 2024-04-11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생태포럼 | 우리 곁의 자연을 소중하게 지켜주세요
우리는 도시에서 삽니다. 동물들은 어떨까요? 우리는 도시에 삽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90.7%는 도시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도시화율은 97.1%로 전국에서 가장 높습니다. 우리는 왜 도시에 살까요? 사람들은 자연 가까이에서 살고 싶다고...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동물 사육은 동물 복지와 먹거리 윤리에 근거해야
박진희 2024-04-11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40여년 동안 비위생적인 시설에서 웅담을 채취당한 곰...
0


액티비티 | 동물복지활동가 최혁준 | 존재 그 자체에 다가가기 위하여
이유경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09 최혁준은 '전시 동물' 복지 활동가이며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활동가다. 태어날 때부터 동물을 사랑했다. 돌 사진도 호랑이 인형 위에서 찍었다. 처음 배운 한글도 ‘엄마, 아빠, 가나다라’가...
0


현장취재 | 자연의벗연구소 | 독수리를 지키는 사람들
송민경 기자, 양성욱 영상기자 2024-03-18 자연의벗연구소, 오창길 이사장 지난 3월 15일, 자연의벗연구소는 '한국몽골국제포럼' <독수리를 지키는 사람들>이라는 주제로 서울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에서 '제3차 자연의벗 멸종위기종 포럼'을...
0


지구여자 박소연의 러브레터|동거합시다
박소연 2024-02-28 연세대 인류학과 졸업.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과정에서 정치생태학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정치활동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크다. 복잡한 논의를 통해 해답을 찾는 과정이 소중하다는, 스물여섯 살 '지구여자'다...
0


이종구교수ㅣ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야생동물과의 갈등을 줄여야
박성미 총괄 2024-02-22 이종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숲의 생태계를 배웠고, 생태계의 구성 요소인 야생동물을 다루는 연구실에서 공부했다.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야생동물의 생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