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물 먹는 하마, AI데이타 센터
AI 데이터센터 물소비량, AI 시대 데이터센터가 많은 물을 소모하는 이유는 증발식 냉각 시스템 때문이다. 이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지만 물 사용량이 많아 기후위기와 물부족 시대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0


블루테크현장 | '연잎' 원리를 적용하다, 초발수 기술
초발수 기술 혁신 응용, 연잎 효과를 모방한 한국의 초발수 기술은 오염 감소와 자원 절약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혁신적인 기술이다.
0


블루테크현장 | 자연에서 배우는 인공두뇌 혁신
친환경 스파이킹 신경망,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스파이킹 신경망(SNN)은 인공지능의 에너지 효율성을 혁신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SNN은 뇌의 신경 신호 전달 방식을 모방해 최소한의 에너지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0


기후위기와 과학기술 | 기후위기의 해법, 생체모방기술이 뜨고 있다
자연모방기술 기후위기 해결,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한 자연모방기술은 지속가능한 혁신을 이끌며 기후위기 해결의 열쇠가 되고 있다.
0


현장취재 | 최재관 | 태양광으로 마을버스도 식당도 운영될 수 있다면
농촌 태양광 발전 수익, 마을 주민이 직접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운영하여 마을에 실질적인 혜택을 줌으로써, 농촌이 에너지와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0

기획 | 재생에너지, 동향과 전망
2025-02-20 최민욱 기자 국제에너지기구(IEA), 재생에너지 설치량 중 80% 이상이 태양광이라고 보고 국제에너지기구(IEA)는 'Renewables 2024' 보고서에서 전 세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약...
0


기획 | 생성형 AI의 그늘: 데이터센터
AI 환경오염 영향, AI의 급증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증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전력 수요 증가, 물 사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환경친화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0


기후와 경제ㅣ자본주의와 기후위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기후위기와 경제성장 한계, 지속 불가능한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 생태적 전환과 사회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경제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는 내용이다.
1


기획③ 자연에서 배우는 건축
황희정 기자 2024-12-13 공룡의 등뼈도 건축에 영감을 주었다. @pxhere 동물을 본뜬 건축: 공룡 다리와 에덴 프로젝트 1917년 영국의 동물학자이자 수학자인 다르시 톰슨(D'Arcy Thompson)은 『성장과 형태(On Growth...
0


기획 ③ | AI와 기후위기
2024-10-16 <편집자주> AI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해서 AI가 만들어 낼 사회적, 윤리적 영향을 모두 알고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우리는 충분히 알지 못하며, 이는 정확한 정보에 근거한...
0


이상호 | 생태국가 독일을 가다 ② 관점의 전환, 튀빙겐(Universitaetstadt Tuebingen)
2024-10-01 이상호 이상호 박사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장관 정책보좌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국회 정책보좌관, 민주노총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21년부터...
0


연재 | 뒷날 풍경ㅣ안드레아스 말름과 전시 공산주의(war communism)
2024-09-26 최은 출판 기획자 지방에서 나고 자랐지만 생의 절반 이상을 서울시민으로 살고 있다. 사회생활은 노동계에서 시작했고, IT업계를 거쳐 몇 권의 책을 기획했다. 어쩌다 보니 10년째 야간 노동을 하면서 사람들을 만난다. 전체론적...
0


김소영ㅣ성대골의 실험, 어린이도서관에서 에너지 자립마을까지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0


안창희 | 이오테크노스 대표 |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이유경 기자, 김진아 영상기자 2024-05-20 기후 위기는 세계적이고, 국가적이며, 전 지구에 걸친 총체적이고 거대한 난제라고 한다. 인류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일들이 생길 것이라는 공포감도 존재한다. 그러나 각자 발 딛고 서...
0


가치소비 | 비타카페 | 지구 건강, 나도 건강
전병석 2024-04-25 커피에 지배당한 나, 그리고 지구 피곤할 때 커피를 마시면 머리가 맑아지는 것 같았다. 카페인 때문에 생긴 뇌의 착각이라는 걸 너무 잘 알지만, 이미 몸이 커피에 길들여졌다.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1년에 커피...
0


기획특집 | 쓰레기 없는 지구를 위하여
송민경 기자 2024-03-26 지구는 쓰레기로 질식하고 있다. 이는 성장 중심의 생산과 소비주의가 가져온 결과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회용품과 패스트 패션이 썩지않은 거대한 쓰레기 산을 만들어 냈다. 무심코 버리는 담배꽁초, 음식물,...
0


특별기고 | 어스아워(Earth hour)
김우성 생태정치포럼 운영위원장 2024-03-26 어스아워,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는 한 시간 2024년 3월 23일 토요일 저녁 8시 30분, 우리 집 거실의 전등이 꺼졌습니다. 다른 많은 곳의 전등도 함께 꺼졌습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