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종길 | 바다를 지키지 않으면 지구는 멸망한다
황희정 기자 2024-07-19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0


기획 ② 바다를 제대로 알고, 직면하고, 행동하라
황희정 기자 2024-07-19 총생물량의 약 60%가 사라졌다 “이해하지 못하는 대상은 보호할 수 없다. 그 대상에 관심이 없어도 보호할 수 없다.” 나사의 우주비행사 레이시 비치(Charles L. Veach)가 한 말이다. 우리가 초래해...
0


기획 ① 지구의 핵심은 땅이 아니라 물이다
황희정 기자 2024-07-19 지구의 핵심은 땅이 아닌 물 바다는 지구 표면적의 71%를 차지하지만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인류는 우주로 나간 뒤에야 지구의 가장 큰 특징이 땅이 아닌 물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바다는 그 실체가...
0


커버 | 바다가 위태롭다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지구 사진이다. 지구가 푸른 건 바다가 면적의 70%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바다는 인간이 다루기 어려운 존재다. 육지보다 접근이 어렵고 소유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기후위기로 육지의 삶이 위태롭다....
0


현장취재ㅣ경북일고 ' 자연기반 창업과 기업가정신' 진로캠프 열어
이유경 기자 2024-07-18 지난 2024년 7월 16일, 경북일고등학교(경북 예천군)는 '진로 캠프'를 개최했다. 기업가 정신 함양은 늘 있어왔지만 '자연기반'의 창업, 기업가정신을 주제로한 '진로캠프'는 새로운 시도였다. 이번...
0

![[사설] 케이블카 춘추전국시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6786efbb0ee48cb9501922490e625f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16786efbb0ee48cb9501922490e625f1~mv2.webp)
[사설] 케이블카 춘추전국시대
김용만 대표 편집인 저마다 얼굴이 다르 듯 지역도 다 다르다. 그 특색에 자부심을 갖느냐 못 갖느냐 차이만 있을 뿐이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정체성을 유지 발전시킨 나라는 살아남았지만 그렇지 못한 나라는 기억의 뒤편으로 사라졌다. 역사의...
0

![[사설] 응급실에 있는 가리왕산](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a2e2_9fa65fe5f96e48b58eb9788a08a0f179~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59a2e2_9fa65fe5f96e48b58eb9788a08a0f179~mv2.webp)
[사설] 응급실에 있는 가리왕산
김용만 대표 편집인 가리왕산이 산소호흡기를 꽂고 있다. 산과 숲은 무생물이 아니다. 산림은 나무, 풀, 꽃, 곤충, 동물, 미생물이 어우러진 생물이다. 생물이니 당연 고통을 느낀다. 생로병사의 순환이 주는 자연의 고통이 아니라 인간 부주의로...
0


제10강 풀과 나무와 정원으로 세상 읽기 | 이유미
강의 이유미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풀과 나무와 정원으로 세상 읽기 안녕하세요, 이유미입니다. 여기 우리 분야에 교수님도 계시고 선배님들도 계시고, 언제나 정다운 해설가 선생님들 계시고, 갑자기 왜 떨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이 제목을...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GMO 토마토는 식탁을 풍요롭게 할까?
박진희 2024-07-12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7, 8월은 토마토의 계절이다 지금은 토마토를 사시사철...
0


박수경 | 에너지 공학자를 대통령으로 선택한 멕시코
박수경 2024-07-12 멕시코에서 원주민공동체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주민 사회에 대한 관심을 출발점으로 삼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문화, 사회, 정치 등에 대해 연구하고 강의한다. 옮긴 책으로는 『식인의...
0


이주화 이맘 | 한국이슬람교 서울중앙성원 | 다음 세대에게 더 좋은 하나님의 것들을 물려줄 수 있도록
이유경 기자 2024-07-10 한국이슬람교의 유일한 이맘(‘이마마(앞)’이라는 말에서 유례, 예배를 인도하는 자라는 뜻으로 이슬람 지도자를 말함)이다. 샤리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이슬람교에 대한 인식 개선과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1984년...
0


오광선 교무ㅣ원불교환경연대ㅣ배은이 아닌 보은을 해야 한다
이유경 기자 2024-07-11 원불교 의왕교당 교무이면서 원불교환경연대의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어릴 적부터 기도하는 어머니를 보며 자랐다. 고등학교 때 자취하면서 선배들이 나누는 원불교 이야기를 듣고 교당에 다니게 되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0


한주영ㅣ불교환경연대 | 적게 욕망하며 만족함을 안다
이유경 기자 2024-07-11 동국대학교에서 불교학을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부터 불교여성개화론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다. 2016년부터 불교환경연대에서 일하며 환경을 공부했다. 모태신앙으로 불교를 접했고, 스님이 되고 싶었을 정도로...
0


임현호 신부ㅣ천주교 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ㅣ자연은 또 하나의 약자다
황희정 기자 2024-07-11 임현호 신부는 신학대학교에서 실천신학 중 사회사목을 전공했다. 지금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환경사목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자연은 또 하나의 약자다 전공은 실천신학 중 사회사목이어서 가장 가난하고 힘없는...
0


종합토론 | 패널 ③ 자연 복원은 충분한 시간을 갖고 해야
황희정 기자 2024-06-19 케이블카 기둥의 철거 공사를 하면, 상처받은 산에 또 상처 충남대학교에서 근무하다 15년 전에 정년 퇴임을 하고 지금은 강원도 산골짜기에 살고 있다. 가리왕산 산림 조사를 10여년 했다. 서울대 명예교수이고...
0


경과보고 | 남준기 | 가리왕산은 복원 대상이지 협상 대상이 아니다
이유경 기자 2024-06-26 가리왕산을 살릴 수 있었던 시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당시, 가리왕산은 뜨거운 감자였다. 울창하게 뻗은 나무와 한 차례의 올림픽을 위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해제하고 13만그루가 넘는 나무를 베어내야 했기 때문이다....
0


포럼 참가자 ② '미안해'라고 말해야 합니다
강의 생태와 강의 문화를 가꾸고 세상을 따뜻하게 하고 시민을 행복하게 하는 사회적협동조합 한강에서 활동하고 있는 강고운입니다. 옆에는 제 딸 정세연입니다. 저는 여의샛강 근처에 살며 작년부터 협동조합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100년이면 저는 죽고...
0


지오북ㅣ한국인은 왜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가?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를 탐구한 연구신서 발간 기념 세미나를 소개합니다. 조선 후기 유교적 상징성, 국가정책, 접근성 등이 소나무 선호의 역사·문화적 기원이라고 밝히고 있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논, 아름다운 생물다양성의 보고
박진희 2024-05-31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초여름 밤, 논이 있는 풍경 대학생 때, 한동안 답사 모임에...
0


지구법, 인간 중심 세계관에서 지구 중심 세계관으로
황희정 기자 2024-05-30 자연도 소송을 할 수 있고, 환경단체는 자연물의 법적 후견인이 될 수 있다. 미국 연방대법원 윌리엄 O. 더글러스 대법관이 1972년 시에라클럽 사건에서 주장한 소수의견이 지구법의 선례로 일컬어진다. 시에라클럽...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