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사이트 | 조인호 | 시민형 AI로 기후위기에 맞서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포스트AI'의 조인호 대표는 거대 AI 중심의 접근을 넘어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생활 밀착형 AI로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5-03-06 박성미 총괄 조인호 포스트에이아이 대표이사 (...
0


현장취재 | 박승원 | 광명시가 기후위기 시대를 준비하는 법
광명시 탄소중립 정책, 광명시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전 부서가 참여하는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과 시민 참여를 통해 탄소중립 실천을 확산하고, 시민 주도의 에너지전환과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0


현장스케치 | 기후전망과 전략, 관통하는 단어는 '고군분투'
기후위기 대응 전략,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현장 스케치이다. 기후전망과 전략을 주제로 한 행사에서 열띤 토론과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0


현장취재 | 양흥모 | 넷제로 공판장에서는 무엇을 팔까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 운영사례, 대전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에서는 지속가능한 삶을 실천하고 있다. 지역 농산물 무포장 판매, 재생에너지 사용, 제로웨이스트 등을 통해 환경과 에너지를 보호하는 공간이다.
0


가치소비ㅣ1.5도씨 이정연 대표 | 작은 실천이 만드는 큰 변화
2025-01-24 최민욱 기자 "진정한 가치소비는 물건을 사는 게 아니라 우리 동네를 바꾸는 거예요." 관악구의 작은 제로웨이스트 숍 '1.5도씨'를 운영하는 이정연 대표의 말이다. 3여년 전 문을 연 이곳은 친환경 제품을 파는 공간을 넘어...
0


경포호수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 모임
2024-12-6 김사름 기자 경포호수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들. 인스타그램 keep_gyeongpo.lake에서 캡처. https://www.instagram.com/keep_gyeongpo.lake?igsh=aTNzNTg4MTA4em...
0


최지수 변호사의 '동물의 정치적 권리 선언'
2024-11-25 김사름 기자 최지수 는 로엘 법무법인 변호사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 PNR에서 활동하고 있다. 『동물의 정치적 권리 선언』 이 책에서 저자는 ‘동물이 능동적 주체로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받기 위해, 인간 정치...
0


이상호 | 생태국가 독일을 가다 ③ 태양 도시 프라이부르크(Sonnenstadt Freiburg)
2024-10-08 이상호 이상호 박사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장관 정책보좌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국회 정책보좌관, 민주노총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21년부터...
0


이선임ㅣ성북기후행동ㅣ마을에서 시작된 세상바꾸기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0


김소영ㅣ성대골의 실험, 어린이도서관에서 에너지 자립마을까지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0

최영선 | 노을공원시민모임ㅣ나무의사가 사는 법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0


참여선언 | 전국 625개 시민단체 스스로 참가단 조직
황희정 기자 2024-09-06 2024년 '907기후정의행진' 조직위원회 가입단체는 총 625개(2024년 9월 5일 기준)로 이번 기후행진은 환경단체만이 아닌 사회단체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참여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전국에서 지역별로,...
0


시화호 30년 연속 대담 ② | 윤영배, 옛날같이 살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다
황희정 기자 2024-08-23 윤영배는 우음도가 고향으로 현재 화성연안환경문화연대 회장이다. 시화지속발전협의회 민간위원, 수원전투비행장반대 대책위원회 고문, 시화지구 어촌계 협의회장, 시화유역관리위원회 위원, 송산발전협의회 자문위원장, 우음도...
0


제종길 | 시화호 지역에서 블루 이코노미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황희정 기자 2024-08-09 제종길 박사는 도시와 자연연구소 소장으로, 환경 생태학자이자 전 안산시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오랜 기간 해양과 연안 생태계의 보호 및 복원,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을 추진해왔다. 특히,...
0

정재훈 교수ㅣ기후위기 시대, 탄소 이해력과 주민 참여
정재훈 박사는 퀸즈랜드 대학교의 교수이며, 기후변화 및 환경 정책 분야의 국제적인 전문가이다. 카본 리터러시와 생물 다양성 상쇄 교육 전문가로서 활동하며 기후위기 대응 전략, 특히 탄소중립 정책과 관련된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정재훈 교수는 호주...
0


이재경ㅣ기후를 '돌봄'으로써 감축에 도달해야 한다
황희정 기자 2024-07-04 이재경 박사는 지역 ·행복·세대 관련 연구자로 지역에서 청년들과 함께 먹고사는 문제에 관심이 많다.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생태문명원의 연구위원, 국민총행복연구소 소장, 삼양로컬랩사회적협동조합 이사,...
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