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동물 사육은 동물 복지와 먹거리 윤리에 근거해야
박진희 2024-04-11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40여년 동안 비위생적인 시설에서 웅담을 채취당한 곰...
0


김우성 | 나무는 사람이 죽입니다
김우성 2024-04-05 연재를 시작하며 김우성의 ‘생태포럼'은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산과 들의 생태계에 관한 이야기들을 다룹니다. 또한 제 딸과 아내 한새롬박사와의 삶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너무 깊이 파고들지 않게 노력하겠습니다....
0


탐방 | 가로수시민연대 최진우 대표 | 가로수 관리와 보호를 위한 거버넌스가 필요
송민경 기자 2024-04-04 변화의 힘은 시민에게 있다 최진우는 2020년, '가로수시민연대'를 결성하여 가로수와 도시 숲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도시생태연구자에서 2022년부터 서울환경연합의 생태도시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가...
0


김레베카 | 가로수에 대한 인간의 예의
송민경 기자 2024-04-04 김레베카는 불문학을 전공하고 2000년대 초반부터 시민운동에 동참했다. 2011년부터 ‘4대강 사업’을 계기로 환경운동에 뛰어들었다. 뒤늦게 시작한 사회학 박사과정과 현장경험을 통합해 환경사회학자의 길을 걷고...
0
![[사설] 220만 산주(山主)를 위한 변명](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5802f5b90c9402fbc63d74c881ecd91~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95802f5b90c9402fbc63d74c881ecd91~mv2.webp)
![[사설] 220만 산주(山主)를 위한 변명](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5802f5b90c9402fbc63d74c881ecd9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95802f5b90c9402fbc63d74c881ecd91~mv2.webp)
[사설] 220만 산주(山主)를 위한 변명
김용만 대표 편집인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63.5%는 산림이다. 이중 67.8%는 개인이 소유한 사유림이다. 임야를 가진 산주(山主)는 220만명에 이른다. 국민 23.5%가 산주인 셈이다. 넓은 사유림도 특이하지만 이렇게 산주가 많은 나라도...
0


한국의 파타고니아를 꿈꾸며ㅣ인베랩(InvaLab)ㅣ신원협 대표
박성미 총괄 황희정 기자 2024-04-04 지구를 생각하는 스타트업들이 속속 생겨나지만 '생태산업' 분야나 특히 '생태복원'의 기술기업은 극히 드물다. 인베랩(InvaLab)이 돌풍이다. 인베랩은 생태계교란 식물에 초점을 맞춘다. 생태계 교란...
2


기획특집 | 식목일이 필요한 시대
이유경 기자 2024-04-03 왜 4월 5일인가? 677년 4월 5일, 신라 문무왕이 삼국 통일을 기념하며 나무를 심었다. 1493년 4월 5일, 조선 성종은 왕의 소유인 밭을 손수 일궜다. 1910년 4월 5일, 조선 순종은 봄을 기념하며...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우리가 녹지 빈곤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박진희 2024-04-04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높은 산중에 집이 있어, 숲에 둘러싸여 산다. 푸른 나무,...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식품의 쓰레기화 막는 사회로 나아가야
박진희 2024-03-27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생산자 지난 2021년...
0
![[사설] 비아 캄페시나(Via Campesina)에서 ‘기후 정의(climate justice)’를 보다](https://i.ytimg.com/vi/KOiDRuZGMkw/maxresdefault.jpg)
![[사설] 비아 캄페시나(Via Campesina)에서 ‘기후 정의(climate justice)’를 보다](https://i.ytimg.com/vi/KOiDRuZGMkw/maxresdefault.jpg)
[사설] 비아 캄페시나(Via Campesina)에서 ‘기후 정의(climate justice)’를 보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기후변화를 주로 일으키는 것은 선진국의 부유층과 대도시들이다. 하지만 그 피해를 입는 것은 화석연료를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 글로벌 사우스의 사람들과 미래 세대다. 이러한 불공정을 해소하고 기후변화를 멈춰야 한다는...
0


특별취재 | 세계 제로 웨이스트의 날 (ZERO WASTE)
송민경 기자 2024-03-27 2023년부터 시작된, 세계 제로 웨이스트의 날은 자원의 재사용과 재활용을 촉진하며, 지속가능한 생활 방식을 장려하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이 날은 지구의 한정된 자원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0


기획특집 | 쓰레기 없는 지구를 위하여
송민경 기자 2024-03-26 지구는 쓰레기로 질식하고 있다. 이는 성장 중심의 생산과 소비주의가 가져온 결과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일회용품과 패스트 패션이 썩지않은 거대한 쓰레기 산을 만들어 냈다. 무심코 버리는 담배꽁초, 음식물,...
0


인사이트ㅣ홍수열 박사ㅣ쓰레기 문제의 답은 생태적 앎에 있다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3-27 홍수열 박사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3년부터 자원순환사회연대 플라스틱위원장, 2019년부터 경기도 업사이클 운영협의회...
0


택배 쓰레기, 지구를 덮치다
이유경 기자 2024-03-27 2015년 미국에서 매립된 쓰레기의 절반은 ‘음식물 포장 배달’로 인한 쓰레기였다. 중국에서 택배 포장에 쓰인 테이프 길이는 17만㎞로, 지구를 425바퀴나 감을 수 있다. 2020년 기준, 중국이 한 해 배출하는...
0


탐방취재 | 다시입다연구소 | 지극히 개인적인, 결국은 지구적인
이유경 기자, 송민경 영상기자 2024-03-26 패션 산업이 성장며 의류쓰레기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지속가능한 의생활 캠페인을 진행하는 '다시입다연구소'의 정주연 대표는 그 해답을 찾고 있다. ‘누구에게나 가능한 방법'으로 '다시 입을...
0


현장취재 | 종이팩 컬렉티브 정책포럼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3-26 2024년 3월 21일, 서초구 소재 (재)숲과나눔 강당에서 <초록열매 종이팩 컬렉티브 정책포럼>이 열렸다. 숲과나무, 사랑의열매,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진행하는 것으로 이번 여섯번째 포럼의...
0


특별기고 | 어스아워(Earth hour)
김우성 생태정치포럼 운영위원장 2024-03-26 어스아워,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는 한 시간 2024년 3월 23일 토요일 저녁 8시 30분, 우리 집 거실의 전등이 꺼졌습니다. 다른 많은 곳의 전등도 함께 꺼졌습니다....
0
![[사설] 숲에도 봄은 오는가](https://i.ytimg.com/vi/q80XdQ8H7CM/maxresdefault.jpg)
![[사설] 숲에도 봄은 오는가](https://i.ytimg.com/vi/q80XdQ8H7CM/maxresdefault.jpg)
[사설] 숲에도 봄은 오는가
김용만 대표 편집인 본사가 있는 시흥 ‘숲1976’에 냉이와 달래가 지천이다. 점식 식탁에는 숲에서 자란 냉이국과 달래 무침이 반찬으로 올라온다. 기후위기에도 아직 계절의 시계는 간신히 돌아가는 모양이다. 숲에는 봄이 오고 있는데...
0


기획특집 | ‘38억톤의 쓰레기 세상’, 빅데이터로 보는 폐기물의 현주소
이유경 기자 2024-03-21 UN, “2023년 도시 쓰레기 총량 23억톤, 30년 안에 매년 34억톤의 폐기물 발생 예정” 유엔환경계획(UNEP)은 2050년 폐기물 처리와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약 853조5000억원이 달할...
0


곽현용 | 한살림연합 | 가치소비가 생명농업을 지속시킨다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양성욱 촬영기자 2024-03-21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1999년부터 경기도 여주로 귀농해 농사지었다. 유기농법을 쓰면서 직거래를 열었고, 규모가 점차 커져서 한살림 경기동부 생활협동조합을 창립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