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특집 | 농민 김현권, 7일간의 산불 현장을 기록하다
의성 산불 현장 기록, 의성 산불 현장을 기록한 농민 김현권의 7일간의 경험을 소개한다. 김현권은 가족과 이웃을 지키기 위해 발벗고 나섰으며, 산불 진화 과정에서 겪은 힘든 고군분투와 시사점들을 생생하게 전한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⑤ 멸치와 예술과 생활이 동화된 섬, 이부키지마
이부키지마 섬마을 예술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통해 알려진 작은 섬 이부키지마는 멸치 어업으로 유명하며, 섬 곳곳에서 멸치 문양을 볼 수 있다. 예술제 개최 이후 인구가 조금씩 늘고 있으며, 주민들은 섬의 가치를 인정받기를 바라고 있다.
0

기획 | 숲을 위협하는 것은 산불만이 아니다
산림정책 전환 방향, 소나무 305만 그루 고사, 기후위기와 산림 구조 문제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림정책은 '심는 숲'에서 '가꾸는 숲'으로 전환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추진해야 한다.
1

![[사설] 대한민국 농업은 괜찮은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17a2ea723d3474f958f93e147754c23~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17a2ea723d3474f958f93e147754c23~mv2.webp)
[사설] 대한민국 농업은 괜찮은가
대한민국 식량안보 농업현황, 식량 안보와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쌀 과잉생산 논란과 정부-농민 갈등을 다룬다. 식량 자급률 하락과 농업 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1


인사이트 | 신지연 |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무총장 | 양곡관리법은 '남는 쌀 매수법'이 아니다
양곡관리법 농민 생존문제,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신지연 사무총장은 양곡관리법 개정이 농민의 생존을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강조하며, 쌀값 보장과 공공 비축량 확대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안녕한 농사를 위해
농작업 안전 문제 대책, 농사일은 위험한 작업장이다. 농사일의 안전과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이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② 시와쿠제도의 중심 섬인 혼지마의 유산
세토우치 혼지마 여행, 시와쿠쇼토의 중심 섬 혼지마는 자치권을 가진 수군의 거주지였던 역사, 국가가 지정한 전통마을, 국가 공인 채석장, 능숙한 항해 기술 등 혼지마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찾아간다.
4


현장취재 | 최재관 | 태양광으로 마을버스도 식당도 운영될 수 있다면
농촌 태양광 발전 수익, 마을 주민이 직접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운영하여 마을에 실질적인 혜택을 줌으로써, 농촌이 에너지와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0


현장취재 | 양흥모 | 넷제로 공판장에서는 무엇을 팔까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 운영사례, 대전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에서는 지속가능한 삶을 실천하고 있다. 지역 농산물 무포장 판매, 재생에너지 사용, 제로웨이스트 등을 통해 환경과 에너지를 보호하는 공간이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영농형 태양광, 에너지 농사도 함께
영농형 태양광 에너지 사업, 영농형 태양광의 장점과 에너지 자립 농촌 사례를 소개하며, 농작물 보호와 전력 생산이 공존하는 '에너지 농사'의 미래를 기대한다.
0


현장취재 | 정진영 | 기후활동가의 하루
석탄발전소 노동자 기후운동, 경남 석탄발전소 폐쇄 앞두고 노동자들의 불안과 기후운동가의 고민을 담은 기사다.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하는 활동가들의 노력과 희망을 보여준다.
0


인사이트 | 로컬에너지랩 문은정 사무국장 | 에너지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기후위기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탄소 중립은 개인과 공동체가 직접 실천하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탄소 중립이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⑭ 그 섬들에서 한 달 살이한다면, 오기지마지!
세토우치 오기지마 여행안내,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참여한 오기지마 섬의 특색 있는 예술 작품과 섬 주민들의 삶을 소개하는 글이다. 섬의 아름다운 풍경과 더불어 지역 재생을 위한 노력이 잘 드러나고 있다.
3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⑫ 걸어 한 바퀴 돌면 절로 힐링이 되는 섬, 이누지마
이누지마 예술여행,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참여한 작은 섬 이누지마에서 찾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미술관과 예술 작품들, 그리고 섬 주민들의 평화로운 일상을 소개한다.
5


가치소비ㅣ1.5도씨 이정연 대표 | 작은 실천이 만드는 큰 변화
2025-01-24 최민욱 기자 "진정한 가치소비는 물건을 사는 게 아니라 우리 동네를 바꾸는 거예요." 관악구의 작은 제로웨이스트 숍 '1.5도씨'를 운영하는 이정연 대표의 말이다. 3여년 전 문을 연 이곳은 친환경 제품을 파는 공간을 넘어...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⑪ 주민과 예술가들의 힘으로 부활하는 테시마
테시마 예술섬 부활기, 작은 섬 테시마가 예술제와 주민들의 노력으로 '풍요로운 자연과 예술의 섬'으로 되살아나는 과정을 소개한다.
3


김우성의 생태포럼 | 나무 껍질이 만드는 숲
자작나무 숲 생태 관리, 추운 북방 지역의 나무인 자작나무에 대해 소개합니다. 자작나무의 특징인 하얀 나무껍질과 그것이 숲에서 하는 역할,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자작나무 숲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고민을 다루고 있다.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겨울, 농사가 시작되는 계절
겨울철 사과나무 전정 방법, 농사철 겨울에는 사과나무 전정이 중요한 농사 활동이라는 내용입니다. 저자는 겨울 관광 체험 프로그램에서 일반인들이 직접 사과나무 전정을 해보는 체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사과나무 전정의 중요성과 의미를 설명합니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⑨ 왜 나오시마가 예술제의 발상지가 되었을까?
나오시마 예술섬 역사, 나오시마는 세토내해의 작은 섬으로, 현대 미술관과 건축물로 유명하다. 천황의 명명으로 시작된 나오시마는 제련소 마을에서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변화하였다. 지역 주민들의 강한 의지와 아름다운 자연이 나오시마를 예술제의 성공 비결
1

![[사설] 우리가 되돌려 놔야 할 것들, 가리왕산](https://static.wixstatic.com/media/59a2e2_888c3224f00b4ba8b94ac7c66474485b~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59a2e2_888c3224f00b4ba8b94ac7c66474485b~mv2.webp)
[사설] 우리가 되돌려 놔야 할 것들, 가리왕산
가리왕산 생태복원 과제, 가리왕산 복원은 세계 최초 산림생태복원모델로, 정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가리왕산은 500년간 보존된 생태보고이지만, 평창 올림픽을 위해 훼손되었다. 복원을 위한 계획이 수립되고 있지만,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