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터뷰 | 이준이 교수 | 기후과학자의 경고
기후변화 과학적 평가,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이준이 교수가 IPCC 6차 평가보고서 총괄 주저자로 참여하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0


현장취재 | 45년 만에 다시 열린 '대한민국 산주(山主)대회'
산주대회 산림 활용방안, 45년 만에 열린 '대한민국 산주대회'로 220만 산주들이 모여 숲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산림 경영 컨설팅으로 큰 호응을 얻었으며, 산주들이 기후 리더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0


기후와 경제ㅣ우크라이나 전쟁이 만든 환경적 역설
우크라이나전쟁 기후위기 영향, 우크라이나 전쟁이 기후위기에 미친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단기적으로 화석연료 사용 증가와 환경 파괴를 초래했지만,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이 지속되는 한 기후 대응은 뒷전이다.
0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읽다 | 1세대 비건 뷰티 브랜드, 아로마티카
아로마티카 친환경 뷰티, 한국의 1세대 비건 뷰티 브랜드 아로마티카가 지구와 피부 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용 자제, 재활용 캠페인, 친환경 원료 사용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뷰티 산업을 실현하고 있다.
0


기획 | "CES2025"에 등장한 에너지 전환 신기술
CES2025 에너지 전환 기술, CES2025에서 에너지 전환 기술이 주목을 받았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 고밀도 리튬-황 배터리, 안전한 원자로, 데이터센터 에너지 솔루션 등이 소개되었다.
0


기획 | ESS와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의 생명줄
2025-02-20 최민욱 기자 재생에너지가 확산되면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스마트그리드가 전력망 안정화 기술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23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30%를 상회했다. 덴마크(80%), 독일(60%)과...
0

기획 | 재생에너지, 동향과 전망
2025-02-20 최민욱 기자 국제에너지기구(IEA), 재생에너지 설치량 중 80% 이상이 태양광이라고 보고 국제에너지기구(IEA)는 'Renewables 2024' 보고서에서 전 세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약...
0


기획 | 세계는 지금 태양광으로 에너지 전환 중
글로벌 에너지 전환 정책, 파리기후협정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었다.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다양한 에너지 전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며, 한국의 과제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의 투자와 결단이 필요하다.
0


기획특집ㅣ플라스틱 국제 협약의 현재와 미래
국제 플라스틱 협약 현황, 국제 사회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주요 국가 간 갈등과 산업계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플라스틱 협약은 생산-소비-폐기 단계의 전면적 규제와 개발도상국 지원을 목표로 하지만, 법적 구속력과...
1

![[사설] 2025년 피해갈 수 없는 기후 쟁점](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webp)
[사설] 2025년 피해갈 수 없는 기후 쟁점
2025년 기후위기 쟁점, 2025년 불가피한 기후 문제와 해결책에 대해 다루고 있다. 탄소 흡수원 확대, 플라스틱 규제, 에너지 전환, 인공지능 활용 등 다양한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1


스포츠의 기후 행동
스포츠도 기후위기 행동에 나서야 한다. '스포츠기후행동협정(Sports for Climate Action)'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2018년에 시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조직과 단체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며, 지속...
0


김경일 | 기후 협력으로 지방정부가 나서서 평화 유지해야
파주에서 태어나 분단과 군사적 긴장을 경험, 기후 협력을 비롯해 지방정부가 앞장서 남북협력사업 이끌어야 2024-11-08 황희정 기자 김경일 파주시장, 남북평화협력 지방정부협의회 회장 김경일 파주시장은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나 건국대학교...
1


종합토론 | 평창올림픽으로 훼손된 가리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황희정 기자 2024-06-19 종합토론은 서울대 산림자원학과 석사, 미시간대 국제관광학 박사, 현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 김대관 교수(맨왼쪽)가 좌장을 맡았다. 토론자는 전 부산관광공사 사장, 현 문화연대 집행위원인 정희준(맨오른쪽), 일본...
0


유정엽 | 한국노총 정책본부장 | 정의로운 전환의 주체로서 노동자
이유경 기자 2024-06-20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출신으로, 노동법을 전공했다. 97년 5월부터 한국노총에 노동법 및 노사관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본부 전문직 간부로서 일했다. 1996년 말 당시 여당인 신한국당이 날치기노동법 제·개정으로...
0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webp)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그레타 툰베리는 스웨덴의 환경활동가다. 2018년 12월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 참가해,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 정치인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당시 그는...
0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탄소중립 농산촌 기업은 탄생 가능할까?
박진희 2024-05-03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은 많다 농산어촌에 살다 보면 창업의...
0


가치소비 | 비타카페 | 지구 건강, 나도 건강
전병석 2024-04-25 커피에 지배당한 나, 그리고 지구 피곤할 때 커피를 마시면 머리가 맑아지는 것 같았다. 카페인 때문에 생긴 뇌의 착각이라는 걸 너무 잘 알지만, 이미 몸이 커피에 길들여졌다.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1년에 커피...
0


특별취재 | 국내 첫 기후소송 공개변론장을 가다
정부의 기후 대응 계획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헌법재판소의 공개변론이 시작됐다. 지난 2024년 4월 23일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는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과 일반 시민들로 북적거렸다. 오후 2시에 시작한 공개변론은...
0


액티비티ㅣ이환열 | 시흥에코센터ㅣ생태 감수성으로 일상의 변화를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24 이환열은 2022년부터 지금까지 시흥에코센터초록배곧의 센터장이다. 1998년 시민 단체 시흥YMCA 창립부터 함께 활동했다. 2005년부터 2018년까지 13년간 시흥YMCA 사무총장을 맡았다....
0

![[사설] ‘1인당 기후협약’에서 ‘정의(justice)’를 본다](https://i.ytimg.com/vi/wZjjZaoBBFA/sddefault.jpg)
[사설] ‘1인당 기후협약’에서 ‘정의(justice)’를 본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블랙 스완(Black Swan)’은 드물고 예측할 수 없으며 극단적인 사건을 말한다. 연결해서 최근 ‘그린 스완(Green Swan)’이란 말이 생겨났다.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예측 불가능하고 극단적인 경제적 사건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