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특집 | '바이오미메틱스(Biomimetics)', 글로벌 현황과 과제
바이오미메틱스 글로벌 현황, 전 세계 128개국이 주목하는 바이오미메틱스 기술의 글로벌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한국은 세계 7위의 연구 성과를 보이며, 공학·재료과학·화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대, 성균관대, 고려대 등 국내 대학이 핵
0

1타 중국 철학자 | 아호학파(鵝湖學派), 모우쫑산 2
북송 5대 유학자(북송오자)의 철학적 영향과 주희, 육구연 등의 논쟁을 통해 성리학과 양명학의 갈등을 다룬다. 이는 현대 신유가 철학자들의 연원과 관련이 깊어, 이해가 필요한 중요한 역사적 맥락이다.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그 쉼 없는 열정, 자강불식(自强不息)
중국철학자 풍우란 이야기, 중국의 저명한 철학자 풍우란이 미국에서 공부하며 받은 영향과 그의 저작 활동을 소개한다. 서양 철학의 프래그머티즘과 신실재론의 영향 아래 중국 전통철학을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던 풍우란의 열정적인 학문 여정을 살펴본다.
0


김도균ㅣ지구법학적 공적 이성의 가능성
김도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에서 공적 이성과 지구법학의 결합 가능성을 탐구하며 새로운 법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황희정 기자 2024-12-06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 학술 대회에 참가한 김도균 교수 지구적...
0


기획 ② | 노벨상이 쏘아 올린 AI시대
2024-10-16 <편집자주> 2024년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은 전통적인 물리학자나 화학자가 아니라 인공지능을 연구했거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과학자들이 선정되었다. 2023년 ChatGPT로 세상이 놀래고 있는 사이에 2024년 노벨상위원회는...
0

이영숙 | 식물의 사회생활, 식물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다
황희정 기자 2024-10-04 이영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했다. 박사 과정 후 1년간 하버드대학교에서 연구원 근무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후...
0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수렴과 발산을 동시에, 수징난 ②
2024-09-26 윤지산 윤지산 퇴락한 고가에서 묵 가는 소리와 댓바람을 들으며 성장했다. 선조의 유묵을 통해 중국학을 시작했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깊이를 더했다. 한양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인민대학교 등지에서 공부했다. 『고사성어 인문학...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