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① 갈림길에 선 해양, 다른 바다도 알아야 한다
기후변화 해양생태계 위기, 대통령의 기후미션 아래 제종길이 제주와 일본 바다의 현장 진단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위기 상황을 전하고 있다. 수온 상승으로 돌산호가 출현하고 갈조류 군락이 사라지는 등 바다가 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③ 타카미지마, 문어와 사람이 떠난 자리에 예술이 남아
세토우치 타카미지마 예술제, 세토우치 섬 타카미지마에서 예술제 작품들이 섬의 쇠락과 과거를 아쉬워하며 문어와 사람의 공간을 표현하고 있다. 교토 대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 중인 '타카미지마 프로젝트'가 섬의 역사와 공간을 탐색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5


기획 | 식량 위기, 바다가 보내는 경고
기후변화 수산업 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 악화로 한국 수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명태 자원 고갈, 방어 어획량 감소 등 주요 어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구온난화와 해양 산성화로 인한 것이다. 정부와 연구진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
0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webp)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webp)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
기후위기 해결 청색기술,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는 이유를 탐구하고, 자연의 원리를 모방한 청색기술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0


지오북ㅣ생명체의 탄생은 지구만 알고 있다
생명체 기원 지구 과학, 다윈의 진화론이 설명하지 못한 캄브리아기 생명체 폭발의 원인을 지질학적 관점에서 밝혀낸다. 지구 전체를 뒤덮었던 빙하가 녹으면서 산소가 급증하여 다양한 생명체가 출현하게 된 과정을 탐구하는 내용이다.
1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⑭ 그 섬들에서 한 달 살이한다면, 오기지마지!
세토우치 오기지마 여행안내,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참여한 오기지마 섬의 특색 있는 예술 작품과 섬 주민들의 삶을 소개하는 글이다. 섬의 아름다운 풍경과 더불어 지역 재생을 위한 노력이 잘 드러나고 있다.
3


지오북ㅣ바다의 약자들은 연대한다
바다생물 생존 지혜, 물리학자의 시선으로 바다 생물의 경이로운 생존 기술을 소개하는 책 '바다의 천재들'이다. 다랑어, 히드라충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의 영리하고 협력적인 생존 전략을 통해 인간의 정치와 대조되는 바다생물의 모습을 보여준다.
0


기획특집ㅣ옷장에서 새어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2025-01-24 황희정 기자 패션 산업, 플라스틱 오염의 주범 전 세계 의류의 약 60%는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된다. 합성섬유로 분류되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스판덱스 등은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며 가격이 저렴해서 많은 대중들이...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소금이 만드는 숲
맹그로브 해안숲 생태계, 따뜻한 남쪽나라의 맹그로브 숲을 소개하다. 맹그로브 숲은 소금기를 걸러내며 물에 잠긴 진흙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적응력을 보여준다. 맹그로브 숲은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이자 인간을 재해를 막아 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0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⑤ 해안개발로 환경과 자원을 잃은 바다
세토우치 해양오염 실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가 개최되는 섬들의 과거 해안 개발로 인해 연안 습지가 파괴되고 바다가 오염되어 '죽음의 바다'로 변화했다가 최근 다양한 노력으로 수질이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풍성한 바다'는 이루지 못했음을 말하다.
3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④ 세상에서 가장 풍요롭던 바다, 세토나이카이
일본의 지중해로 불리는 바다, 세토나이카이는 조선통신사도 다녔던 오래된 무역항로이자 일본 최대 국립공원이 있으며 수산자원의 세계적인 보고로 문어밥과 멸치 요리 등 해산물 음식도 유명한 바다 정원이다. 2024-11-29 제종길, 고은정, 이응철...
3


제종길의 남행(南行) 수중 탐사 ⑨ 데라완군도를 떠나며
2024-10-25 제종길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1


기획 | 역할 커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변화 대응,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기후위기 시대에 해양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예측하는 핵심 기관으로, 해양 기후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 연구를 통해 국가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
1


해양학자에게 듣는다 | 예상욱 교수ㅣ해양 수온은 직접적인 환경 변수
황희정 기자 2024-10-25 예상욱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에서 이학사, 이학석사,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2005년 미국 Center of Ocean-Land-Atmosphere Studies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
1


해양학자에게 듣는다 | 김용선 박사 | 해양 모르면 '미래 전망' 어려워
황희정 기자 2024-10-25 김용선 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과 지구환경과학부에서 해양물리 및 기후역학을 공부했다. 석사과정에서는 수치모형을 통해 동해의 순환을 모의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Texas A&M 대학에서 알레한드로 오르시 교수 밑에서...
1


제종길의 남행(南行) 수중 탐사 ⑧ 산호 삼각지대로 다시 들어서다
2024-10-18 제종길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0


제종길의 남행(南行) 수중 탐사 ⑦ 안녕! 미야코지마
2024-10-11 제종길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0


곽철우의 블루카본 | 해조류가 육상식물보다 탄소 흡수율 높아
2024-10-04 곽철우 곽철우 박사는 1968년생으로 경남 밀양 출신이다. 1987년 공수특전여단에서 특임대 수중팀에 근무하며 바다를 접했다. 군 작전임무을 수행하기 위한 군사잠수로 잠수 관련 업무를 시작했다. 스포츠잠수, 산업잠수,...
0


제종길의 남행(南行) 수중 탐사 ⑥ 같지만 다른 이키노시마
2024-10-04 제종길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0


제종길의 남행(南行) 수중 탐사 ⑤ 그곳엔 대형 갈조류가 없었다
2024-09-26 제종길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