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생물다양성의 최후 보루, 보호지역을 보호하라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지정관리, 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 수단인 보호구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보호 관리와 지역사회 참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0


블루테크현장 | '연잎' 원리를 적용하다, 초발수 기술
초발수 기술 혁신 응용, 연잎 효과를 모방한 한국의 초발수 기술은 오염 감소와 자원 절약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혁신적인 기술이다.
0


지오북ㅣ생명체의 탄생은 지구만 알고 있다
생명체 기원 지구 과학, 다윈의 진화론이 설명하지 못한 캄브리아기 생명체 폭발의 원인을 지질학적 관점에서 밝혀낸다. 지구 전체를 뒤덮었던 빙하가 녹으면서 산소가 급증하여 다양한 생명체가 출현하게 된 과정을 탐구하는 내용이다.
1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흔들어 깨우는 시간, 경칩
봄철 농사 시작법. 봄이 오는 소리에 깨어나는 자연의 시간, 경칩. 농부가 씨앗의 겨울잠을 깨우는 방법 세 가지를 풀었다. 이불 걷어젖히기, 물끼얹기, 등짝 때리기. 영등할매바람이 부는 때가 경첩이다.
0

![[사설] 정치인과 기후공약](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af953fda2ecf485091b20e08283aad53~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af953fda2ecf485091b20e08283aad53~mv2.webp)
[사설] 정치인과 기후공약
정치인 기후위기 공약, 정치인들의 기후 공약은 앞으로 5년간의 기후 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화석연료 감축, 에너지 전환, 숲과 바다 보호 등 실현 가능한 구체적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기후위기 해결의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0


기획① 자연을 본뜬 위대한 발명
황희정 기자 2024-12-13 신화 속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카루스의 날개는 인류가 새의 날개를 모방한 비행 기술을 시도한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pixabay 생물영감(bioinspiration)과 생물모방(biomimicry) 인간이...
0

자연은 법적 권리주체가 될 수 있나
'지구법학'은 인간뿐 아니라 자연계 모든 존재를 고유한 권리를 가진 주체로 인식하는 새로운 법적 패러다임으로 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2024-12-06 김사름 기자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 학술대회 현장 서울대학교...
0

해양학자에게 듣는다 | 김용선 박사 | 해양 모르면 '미래 전망' 어려워
황희정 기자 2024-10-25 김용선 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과 지구환경과학부에서 해양물리 및 기후역학을 공부했다. 석사과정에서는 수치모형을 통해 동해의 순환을 모의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Texas A&M 대학에서 알레한드로 오르시 교수 밑에서...
1


생태포럼 | 김우성 | 디지털 세상에 만드는 숲
2 024-10-03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아빠, 새 덕후 영상 봐도 돼?” “물론이지. 하지만 더 좋은 건 우리 주변의 새를 너의 눈으로 직접 관찰하는 거란다.” 드론 카메라가 대자연의 모습을 고화질로...
0


식물의 사회생활 | 이영숙 최배영 지음
『식물의 사회생활』 은 한 곳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이 다른 식물, 미생물, 동물, 인간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지 소개한다. 먹고 먹히며 살아 남고, 살아 가는 식물들의 전략적 삶에서 기후위기의 시대, 어떻게 이 모든 생명체들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