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음식시민'의 탄생
박진희 2024-05-16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무엇을 먹을까'와 '어떻게 먹을까'는 반드시 배우고 익혀야...
0
![[사설] 대한민국 숲, 미래 100년](https://static.wixstatic.com/media/2eee037a71744d5ca4a97dd7e5f9b38a.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2eee037a71744d5ca4a97dd7e5f9b38a.webp)
![[사설] 대한민국 숲, 미래 100년](https://static.wixstatic.com/media/2eee037a71744d5ca4a97dd7e5f9b38a.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2eee037a71744d5ca4a97dd7e5f9b38a.webp)
[사설] 대한민국 숲, 미래 100년
김용만 대표 편집인 “문명 앞에 숲이 있었고 문명 뒤에 사막이 남는다”라는 말은 꽤 알려져 있다. 프랑스 문호이자 외교관이었던 샤토 브리앙이 한 말이다. 인류 문명 발생 이후 지구 산림의 반이 사라졌다고 한다. 2020년...
0


박현 | 서울대학교 객원교수ㅣ인류가 살아남기 위한 대안
황희정 기자 2024-05-09 박현 교수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산림생태학 석사, 위스콘신대학교 토양학과 토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2023년 2월까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0


윤여창ㅣ서울대학교 명예교수ㅣ생태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이유경 기자 2024-05-09 서울대학교와 워싱턴대학교에서 임학을 전공했다. 전공을 하게 된 이후에야 산에 관심을 가졌고, 학자로서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숲에 대해 연구했다. 숲을 공부하다 보니 학자로서 가진 관심을 넘어 시민으로서 흥미와 애정이...
0


생태포럼 | 대나무의 재발견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2 024. 05. 10 눈부신 5월입니다 어린이들은 신록과 들꽃이 가득한 짧은 봄을 만끽합니다. 저의 어린 시절을 돌이켜 보면 많은 시간을 집 밖에서 보냈습니다. 친구들과 개울에서...
0


스냅샷 | 지구인
좋은 것, 멋있는 것, 아름다운 것을 보면 가지고 싶고, 사고 싶은 욕망. 이것은 인간의 본능인가, 아니면 누군가에게 철저하게 길들여진 것일까. 냉장고, 에어컨, 자가용을 버렸다. 전기도 끊었다. 장롱 속에 넘치는 옷을 보고 충격을 받아 옷도...
0


스냅샷 | 동물권
대화가 되지 않아 불편했던 동물들입니다. 강아지에게 젖을 물리는 어미의 모습에서 깨달음을 얻습니다. 공장식 축산과 대규모 살처분하는 끔찍한 장면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습니다. 동물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생명이 있는 모든...
0


스냅샷 | 봄나물
농산물 가격이 20% 이상 폭등 중이다. 사과는 무려 88%가 올랐다. 딸기, 참외, 상추, 오이 등 여름에 먹을 수 있었던 것들이 겨울에도 넘쳐 나는 시대. 세상 편해지고 좋아졌다 놀라워하는 사이, 인간의 욕망이 계절을 없애고 생태계를...
0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webp)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57d14627d964232bfce73967bbaa5af~mv2.webp)
[사설] 기후소송, 이제 기업들이 응답할 때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그레타 툰베리는 스웨덴의 환경활동가다. 2018년 12월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 참가해,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 정치인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당시 그는...
0


파타고니아, 지구를 위한 1% 프로그램
2024-05-02 1% for the Planet 파타고니아는 이익을 추구하되 성과를 우선하지 않으며, 회사의 모든 결정은 환경 위기를 염두에 두고 내린다는 가치철학을 가지고 있다. " 1% for the Planet”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0


파타고니아 언패셔너블(unfashionable) 비지니스 스쿨
이유경 기자 2024-05-03 2024년 4월 6일, 파타고니아코리아 쉬나드 홀에서 '파타고니아 언패셔너블 비지니스 스쿨(이하 파타고니아 스쿨)'의 입학식이 있었다. 의류 산업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기업에서...
0


특별인터뷰 | 영화 '땅에 쓰는 시'의 정다운 감독, 김종신PD를 만나다
황희정 기자, 양성욱 영상기자 2024-05-03 땅에 쓰는 시(Poetry on Land) 감독 : 정다운 제작 : 김종신 개봉 : 2024.04.17. 상영시간 : 113분 작품 소개 영화 < 땅에 쓰는 시 >의 주인공은 정영선 조경가다....
0


현장취재 | '숲 데이'에 오세요
황희정 기자 2024-05-02 지난 2024년 4월 30일, 시흥시 동산길 33 '숲1976'에서 '숲 데이'가 열렸다. 창립 30주년을 맞은 '산과 자연의 친구,우이령 사람들'은 30주년 기념사업으로 매달 30일 시흥 '숲1976'에서 '숲...
0


인사이트| 김광현 파타고니아코리아 환경팀장 | 파타고니아답게
이유경 기자, 김동혁 촬영기자 2024-04-26 파타고니아코리아 환경팀 김광현 팀장 planet03 DB 암벽등반가이다. 전국의 산에 한 번쯤은 다 가 봤다. 『파타코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을 읽었다. 너무 많이 공감되었고 완전히...
0


기획특집 ② | 시화호 30년의 가치를 발견하다
이유경 기자 2024-04-25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에 둘러싸인 인공호수 시화호는 1994년 1월, 첫 완공 당시부터 '죽음의 호수'가 되었다. 30년이 되었다. 시화호는 본래 수질의 99%를 회복했고 시화지구는 관광, 생태, 문화,...
0


기획특집 ③ | 시화호의 미래를 가다
박성미 총괄 2024-04-22 지난 2024년 4월 15일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두 부처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공동으로 추진할 5개 사업(이하 ‘5대 협업과제’)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국토개발과 환경보전이라는 상반된 가치를 서로 조화시키고,...
0


기획특집 ① | 시화호 30년의 역사를 보다
이유경 기자 2024-04-25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에 둘러싸인 인공호수 시화호는 1994년 1월, 첫 완공 당시부터 '죽음의 호수'가 되었다. 30년이 되었다. 시화호는 본래 수질의 99%를 회복했고 시화지구는 관광, 생태, 문화,...
0


생태포럼 | 조개와 물고기가 죽어버린 강가에서 사람들은 결코 건강한 삶을 살 수 없습니다
정부와 지자체, 시민과 기업이 동식물의 서식지를 만들기 위해 모였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울산에는 버려진 철길을 숲으로 바꾸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도시가 확장되고 더 넓은 선로가 필요해짐에 따라 기존 선로는 그 쓰임을 다합니다....
0


액티비티 | 장동용ㅣ시흥갯골사회적협동조합ㅣ모든 것에 감동하라, 그리고 행하라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25 장동용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시흥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을 맡았다. 시화호 문제 발생 후 시화공단의 대기 개선 해결에 앞장서서 시민단체 운동을 주도했다. 시화호 북측 317만평(현...
0


가치소비 | 비타카페 | 지구 건강, 나도 건강
전병석 2024-04-25 커피에 지배당한 나, 그리고 지구 피곤할 때 커피를 마시면 머리가 맑아지는 것 같았다. 카페인 때문에 생긴 뇌의 착각이라는 걸 너무 잘 알지만, 이미 몸이 커피에 길들여졌다.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1년에 커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