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식량 위기, 바다가 보내는 경고
기후변화 수산업 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 악화로 한국 수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명태 자원 고갈, 방어 어획량 감소 등 주요 어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구온난화와 해양 산성화로 인한 것이다. 정부와 연구진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
0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 산주(山主)가 숲을 지켜야 기후위기도 막는다
산림 경영 기후위기 해결,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박정희 인터뷰,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산림 경영에 있다. 산림의 다원적 가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산림 경영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0


인터뷰 | 의식주의 윤태이 대표 | ‘환경과 소비의 균형’ 위한 지속 가능한 패션을 꿈꾸다
지속가능한 패션 브랜드, 의식주의 브랜드 윤태이 대표가 패션 산업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소재와 자원 순환 방식을 도입한 노력을 소개하고 있다.
0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읽다 | 1세대 비건 뷰티 브랜드, 아로마티카
아로마티카 친환경 뷰티, 한국의 1세대 비건 뷰티 브랜드 아로마티카가 지구와 피부 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용 자제, 재활용 캠페인, 친환경 원료 사용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뷰티 산업을 실현하고 있다.
0


현장취재 | 한상엽 | 기후테크 투자자 이야기
기후테크 투자 현황 분석, 기후테크 투자 위축 속 기회와 과제 탐색 - 한상엽 대표가 소풍벤처스에서 바라본 한국 기후테크 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략을 제시하다.
0


기획 |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정의로운 전환 정책방향,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노동자와 지역사회 보호가 필요하다. 정부는 사회적 대화와 산업전환 지원책을 마련하여 일자리 창출과 보장에 힘써야 한다.
0


기획 | ESS와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의 생명줄
2025-02-20 최민욱 기자 재생에너지가 확산되면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스마트그리드가 전력망 안정화 기술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23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30%를 상회했다. 덴마크(80%), 독일(60%)과...
0


기획 | 세계는 지금 태양광으로 에너지 전환 중
글로벌 에너지 전환 정책, 파리기후협정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었다.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다양한 에너지 전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며, 한국의 과제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의 투자와 결단이 필요하다.
0


기획 | 생성형 AI의 그늘: 데이터센터
AI 환경오염 영향, AI의 급증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증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전력 수요 증가, 물 사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환경친화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0


기획특집ㅣ플라스틱 국제 협약의 현재와 미래
국제 플라스틱 협약 현황, 국제 사회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주요 국가 간 갈등과 산업계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플라스틱 협약은 생산-소비-폐기 단계의 전면적 규제와 개발도상국 지원을 목표로 하지만, 법적 구속력과...
1


기획특집ㅣ플라스틱의 모든 것
2025-01-24 황희정 기자 @pexels 코끼리 상아를 대체하다 플라스틱은 현대 사회를 상징하는 소재로 가볍고, 저렴하고, 다재다능하다. 플라스틱(plastic)은 그리스어로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라는 의미의...
0


기후와 경제ㅣ자본주의와 기후위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기후위기와 경제성장 한계, 지속 불가능한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 생태적 전환과 사회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경제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는 내용이다.
1


지구는 38억년 가동한 실험실, 자연 모방하는 혁신이 산업 변화의 핵심
2024-12-13 남준기 남준기 기자는 1993부터 2023년까지 내일신문 기자로 재직했다. 2023년 8월 퇴직 후 환경전문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인터페이스사,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모든 방식을 바꾸다 “자연이 바닥 커버링(지표면 덮기)을...
0


인사이트 | 이인식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
자연의 생물들은 화석연료를 고갈시키지도 않고 지구를 오염시키지도 않으며 미래를 저당 잡히지 않으면서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을 전부 해 왔다. 이보다 더 좋은 모델이 어디에 있겠는가. 2024-12-13 김사름 기자 이인식은...
0

![[사설] 이제는 ‘녹색경제’가 아니고 ‘청색경제’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29447961546446a7915eae7ba02f61d9~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dac689_29447961546446a7915eae7ba02f61d9~mv2.webp)
[사설] 이제는 ‘녹색경제’가 아니고 ‘청색경제’다
산업시대라는 틀을 버리지 않고서는 기후위기의 근본 해법은 없다. 생태시대로 전환이 절박하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한동안 ‘녹색경제(Green economy)’가 해답이라고 생각할 때가 있었다.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0

![[사설] 플라스틱 협약 ‘부산 선언’은 결국 없었다.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58a428bd66444a8a94121a75ce664a61~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58a428bd66444a8a94121a75ce664a61~mv2.webp)
[사설] 플라스틱 협약 ‘부산 선언’은 결국 없었다.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
플라스틱 생산 감축이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수요 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요가 조정되면 공급은 따라가기 마련이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지난 12월 2일 부산에서 열린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협약 마련 제5차 정부 간...
0


강우정ㅣ생수 플라스틱 페트병 연간 56억개, 4분의 1이 석유
우리가 자주 잊는 사실은, 생수 역시 일회용이라는 점이다. 목을 축이기 위한 물 한 잔의 값으로 생수는 너무나 많은 환경 영향을 야기한다. 연간 56억개의 페트병이 소비된다고 한다. 페트병 생수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탄소발자국을 합산하면 그 물의...
1

플라스틱 이제 그만 ! 부산에서 끝내자
황희정 기자 2024-11-22 플라스틱 재앙을 막을 마지막 기회 2024년 11월 25일, 부산에서 전 세계가 주목하는 마지막 국제 플라스틱 협약 회의가 열린다. 175개국이 참여하는 이번 회의는 2015년 파리기후협약처럼 역사에 남을 중요한...
1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 슬로푸드 시니어 시대
생태적 삶이 절실한 시대, 장수 할머니들의 생태적 살림의 지혜를 배우는 '장수발효연구회' 박진희 2024-10-31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0


가치소비ㅣ카본코리아(KARBON KOREA)ㅣ국내 최고의 CCUS기술로 기후위기 극복에 기여
2024-10-18 황희정 기자 국내 최고의 CCUS기술 보유 기업 카본코리아는 국내 최고의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카본코리아의 대표인 김경진 CEO를 만났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