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③ | AI와 기후위기

 

2024-10-16


<편집자주> AI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해서 AI가 만들어 낼 사회적, 윤리적 영향을 모두 알고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우리는 충분히 알지 못하며, 이는 정확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생성 AI가 사용하는 막대한 전력과 에너지 사용은 지구의 기후위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용자는 많지 않다. 이로 인해 Google이나 Microsoft, OpenAI 같은 AI기업들이 미래의 기후위기 주범이 될 수 있다는 사실도 채 알지 못한다.

 

AI 발전은 기후위기와 직결되어 있다


2024년 9월 25일, OpenAI의 CEO 샘 알트먼은 AI 모델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막대한 전력 소비 증가를 언급했다. 거대 언어 모델과 같은 대규모 AI 시스템은 엄청난 계산 능력을 요구하고, AI 시스템의 규모와 복잡성이 커질수록 에너지 소비는 기하급수적이다. 따라서 구글, MS, 아마존 등의 데이터센터 외에 5기가와트 데이터센터 5개 이상을 추가해야 한다고 미연방에 제안했다. 5기가와트는 뉴욕시 전체의 전기 소모량과 맞먹는 양이다. 한국의 데이터센터 전부를 합쳐도 2기가와트가 안 된다고 한다. 결국 AI는 지구 에너지 자원과 직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덧붙여 OpenAI는 지구 환경을 위해 재생 가능 에너지와 같은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도입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OpenAI의 이번 발표는 AI 산업 전반의 전력 의존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향후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고 확인된다. AI의 발전은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협력자가 될 것인가, 아니면 기후위기를 더 부추기는 악당이 될 것인가.


대규모 AI 거버넌스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놓치고 있는 것


2024년 9월 26일, 대한민국은 ‘국가인공지능(AI)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는 '국가인공지능위'는 AI 전문가 민간위원 30명과 주요 부처 장관급 정부위원 10명,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국가안보실 제3차장으로 구성되는 대규모 민관 합동 기구다.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이 부위원장을 맡고 조성배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기술·혁신분과위원장), 고진 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산업·공공분과위원장), 김선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인재·인프라분과위워장), 강민구 법무법인 도울 대표이사(법·제도분과위원장), 오혜연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교수(안전·신뢰분과위원장) 등 전문가들이 각 분과를 맡았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민관 합작 투자로 구축하고 AI 사회로 전환을 촉진시켜, 2027년까지 대한민국을 인공지능 3대 강국(AI G3)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대한민국정책브리핑) 하지만 AI발전에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전력 계획, 에너지 정책, 탄소 배출 감축에 대한 지적은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었다.


2024년 9월 26일, AI관련 국내 최대규모의 민관거버넌스인  ‘국가인공지능(AI) 위원회’ 출범했다. 하지만 AI기술이 가져올 탄소배출이나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나 계획은 논의되지 않았다 사진 대통령실 통령실 다
2024년 9월 26일, AI기술 관련 국내 최대 규모의 민관거버넌스 ‘국가인공지능(AI) 위원회’ 출범했다. 하지만 AI기술이 가져올 탄소 배출이나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나 계획 등은 보이지 않았고, 1차회의에서도 논의 되지 않았다. 사진 대통령실

2027년 '세계 3대 AI 강대국' 에 앞서 사회적 합의부터


대한민국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는 2021년 대비, 2023년 원전 비중은 32.4%로 확대되었고, 재생에너지는 21.6%로 감소했다. 윤석열 정부의 기후 에너지 정책이 국제사회 흐름에 역행한다는 비판을 받는 이유다. 비단 탄소감축정책뿐만 아니라 윤석열 정부는 이전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뒤집고 원전산업 강화, 반재생에너지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탄압받고 있고, 전력망 현대화와 추가 확보는 중단되어 있다. 정부는 전력망 여유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호남, 제주, 강원도 등에서 진행되는 재생에너지 신규사업 허가를 중단하고 있다. 정부가 태양광 죽이기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AI에 총력전을 하려면 732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기 위한 에너지 체계를 바로잡아야 한다. 전력확보에 실패하면 데이터센터는 존재자체가 불가능하다. 2019년 싱가포르는 데이터센터에 공급할 전력 수급 문제와 심각한 탄소 배출 등의 환경문제를 인식해 3년간 모라토리엄을 선언하기도 했었다. AI강대국을 선언하기 전에 전력기본계획과 에너지전환정책,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선행돼야 한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비전과 전략 어디에도 이런 논의는 없다. 


AI기술은 기후위기 대응에 필요하지만 독립적으로는 어려워


기후 온난화로 빙산이 녹고 있다면, AI기술로 우리는 어디에서 얼마나 빨리 빙산이 녹는지 알 수 있다.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유럽 ​​우주국은 영국 리즈 대학교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AI가 단 100분의 1초 만에 거대한 남극 빙산의 위성 사진을 매핑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The European Space Agency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 본사를 둔 스페이스 인텔리전스는 AI 기술로 삼림 벌채율과 삼림에 저장된 탄소량 등의 지표를 측정할 수 있다. 영국 런던의 Greyparrot은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시설을 분석해 더 많은 폐기물을 회수하고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돕는 AI 시스템을 개발했다. 네덜란드의 The Ocean Cleanup이라는 환경 단체는 AI기술을 사용해 바다의 플라스틱 오염을 제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브라질 상파울루의 Sipremo라는 회사는 AI를 사용해 기후 재해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고, 어떤 유형의 기후 재해가 발생할지도 예측한다. Reuters는 브라질에서 드론과 AI기술해안 도시인 리우데자네이루 주변 언덕이 재조림되고 있다고 밝혔다. AI기술은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데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AI전문가와 AI기업은 기후환경전문가와 환경단체의 협력이 필요하고 기후환경전문가와 단체의 활동가들은 AI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AI기업은 미래 기후위기의 주범될 수 있어  


2024년 10월 2일, AI기업 OpenAI는 66억달러(약 9조원)의 투자를 받으면서 일약 세계적 기업으로 등극했다. OpenAI의 기업가치는 1570억달러(약 214조원)로 평가받았다. 2015년 설립된 OpenAI는 지금까지 178억달러(약 24조원)의 투자를 받았다. ChatGPT의 하루 운영비는 약 70만달러(약 10억원)이고 지금까지의 모델 훈련비는 총 70억달러(약 10조원)로 알려져 있다. GPT-4와 같은 대형 모델을 훈련하려면 수천 개의 GPU를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지속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GPT-4의 총 에너지 소비량은 약 1287메가와트시(MWh)로 추정(https://arxiv.org/abs/2104.10350) 한다. 이것은 평균 미국 가정이 120년 동안 소비하는 양이다. 이로 인한 탄소 배출의 총량은 약 552톤 CO2로 추산한다. 가솔린 자동차 120대가 1년 내내 운전할 때 배출하는 탄소량과 같다. 대규모 투자로 인해 OpenAI의 GPT-4는 계속 업데이트될 것이고 새로운 모델도 나오게 될 것이다. 새로운 모델을 훈련할 때마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것이고 탄소 배출량은 늘어날 것이다. 지금의 기후위기는 과거에 배출된 탄소 배출량에 의한 것이고 AI기업이 쏟아 낼 탄소 배출은 미래 기후위기의 주범이 될 수 있다. OpenAI 등 AI기업이 재생 에너지 전환을 제안하는 이유다.



참고자료

 





댓글 0개

Comments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