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한국이 물 스트레스 국가라고?

최종 수정일: 8월 2일

 

OECD의 환경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물 스트레스 국가이고 '물 기근 국가'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OECD) 세계자원연구소(WRI)에서는 한국은 2040년까지 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국가 중 하나로 남을 것으로 예측되며, 기후변화와 산업화로 인한 물 수요 증가를 그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World Resources Institute)


세계자원연구소(WRI)는 한국 2040년까지 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국가 중 하나로 남을 것으로 예측했다. 사진 WRI
세계자원연구소(WRI)는 한국 2040년까지 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국가 중 하나로 남을 것으로 예측했다. 사진 WRI

 

물 부족은 반도체 산업에도 영향 줄 수 있어


물 스트레스 국가란 가용 수자원이 인구와 산업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물 자원 부족은 물 의존도가 높은 산업과 농업에 큰 타격을 준다. 전남의 도서 지역과 광주광역시의 식수원이 감소하고 제한 급수가 시행될 가능성도 있다. 호남평야는 농업용수 부족으로 농작물 생산을 위협해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 같은 대규모 공업 단지에서는 공업용수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냉각수 부족으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피해도 예견된다. 반도체 산업은 '극초순수'라는 고도로 정제된 물이 필요하지만, 물 부족으로 인해 생산 차질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어쩌다 한국이 왜 물 부족 국가로 전락했나


한국이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되고 물 부족이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 첫 번째는 기후변화가 강수 패턴의 변화를 초래하여 가뭄과 같은 극단적인 기후 현상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물 자원의 가용성과 질이 저하되고 있으며, 강수량의 변동성은 국가의 수자원 관리에 적신호를 보내고 있다.(World Resources Institute) 두 번째는 높은 인구 밀도와 도시화가 가져온 물 수요 증가다. 대도시 중심의 도시화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재충전을 어렵게 만든다.(World Resources Institute)​ 세 번째는 수자원 관리 문제다. 여름철 집중 호우와 겨울철 건조한 날씨라는 기후변화는 물의 저장과 관리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네 번째는 4대강 사업과 같은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나, 오히려 생태계 파괴와 수질 악화 등의 부작용을 초래했다.(OECD) 무엇보다 경제 성장과 산업화는 물 자원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물 자원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수요는 물 부족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World Resources Institute)​


가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비율이 전체 물 사용량의 약 30%에 해당


2021년 기준, 한국의 1인당 일일 물 사용량은 약 302리터로, OECD 국가 평균보다 높다. 반도체 산업과 같은 물 집약적인 산업의 영향도 있지만 가정에서의 사용량도 중요 원인이다. 가정 내 물 사용량은 샤워, 세면, 요리, 설거지, 화장실 사용 등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대통령 직속 물관리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비율은 전체 물 사용량의 약 30%에 해당한다.(Water.go.kr)​​ (Smart Water Magazine) 가정 내 물 절약 습관의 부족은 한국의 물 스트레스 문제를 악화시키는 원인 중에 하나다. 물 절약과 효율적인 물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물 절약 캠페인, 효율적인 물 사용 장치의 도입, 그리고 재생 가능한 물 자원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OECD)​


물 부족의 대안, 과거 방식으로는 어려워


한국에는 약 1187개의 댐이 있다. 이미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치다. 독일은 약 400개의 댐이, 일본에는 약 2700개의 댐이 있다. 과거 댐은 한국의 물 자원 관리를 위한 중요한 인프라로 사용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기후위기의 시대, 댐은 물 부족 문제의 해결책이 되기 어려워 보인다. 기후변화로 인한 불규칙한 강수 패턴은 댐의 저수 능력 자체를 예측하기 어렵다. 물 공급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탄소 상쇄와 생태계 서비스 등 기후위기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산림이 물 관리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산림은 자연적으로 물을 저장하고 정화하는 기능을 하며, 지하수 재충전과 홍수 예방에 기여한다. 무엇보다 댐 건설은 대규모의 물 소비를 전제하는 토건산업이며 유지 관리 비용 역시 세금으로 충당해야 한다. 기후위기라는 새로운 시대에 인류가 직면해 있다. 관성적인 과거의 방식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은 시대 역행이다.







댓글 0개

관련 게시물

전체 보기

Komentáře

Hodnoceno 0 z 5 hvězdiček.
Zatím žádné hodnocení

Přidejte hodnocení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