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유진ㅣ녹색전환연구소 소장 | 유권자를 찾아가다

 

황희정 기자 2024-02-06


사진 : 이유진 planet03 DB


이유진은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며 지역에너지 전환 전국네트워크 ( GUSSWO )의 공동대표이다. 국무총리 그린뉴딜 특보, 서울에너지공사 비상임 이사를 역임 했다. 녹색연합에서 활동했다.


 

생태 파괴가 미래를 파괴한다


2013년 녹색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민간 싱크 탱크를 만들고자 했다. 당시 녹색당을 포함하여 녹색 정치를 하려는 사람들이 모여서 녹색전환연구소가 만들어졌다. 본인 또한 기후나 에너지 쪽에서 일해 왔고 녹색 정치, 녹색 전환 정책을 구체적으로 탐구할 필요가 있어서 연구소에 참여했다. 합류 전에는 녹색연합에서 활동했다. 1996년 녹색연합에서 아시아 지역 환경이나 민주주의 문제를 화두로 대학생들과 함께 현장 답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당시 필리핀 수빅에서 봤던 장면이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미군 기지가 철수한 장소에 사람들이 터를 잡았는데, 아이들이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것이다. 여기서 현재의 생태의 파괴가 다음 미래 세대까지도 파괴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 프로그램 종료 후 녹색연합 회원에 가입했다.


전국 17,000명에게 묻다


녹색전환연구소는 2013년 한국 사회의 녹색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연구소다. 국가 정책의 전환, 지역의 전환, 그리고 삶의 전환. 이 세 가지 카테고리를 두고 대안 정책을 만들고자 했다. 녹색전환연구소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과 상당히 밀접하게 협력해서 연구한다는 점이다. 17개 광역 지역을 돌며, 각 시도에 사는 시민들이 모였고, 우리 지역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방향에 공감해 10가지 정책 보고서 17건을 펴냈다. 지난 해에는 17개 지역의 녹색 일자리 이슈 페이퍼를 만들었다. 더 들어가서 충남, 전남, 광주, 경기도는 각 지역마다 200여 쪽의 녹색 일자리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번에는 17개 광역시도에 각 천 명씩 17,000명을 대상으로 어떻게 기후위기를 보는지 그 인식을 조사했다. 보통 싱크 탱크는 수도권에 집중하는데, 녹색전환연구소는 광역과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에서 기후위기를 대응할 정책이나 방향을 생성하는 데 집중해서 알리고 또 도움 되는 일들을 찾고 있다.


사진 : 이유진 planet03 DB


유권자를 추적하다


이번에 인상 깊은 결과가 나왔다. '이번 총선에서 우리 지역에 나온 후보나 정당이 기후 대응을 위해서 좋은 정책을 만든다면, 자신의 평소 정치적 성향이 달라도 표를 줄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10명 중 6명이 그럴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는 사람들이 기후 문제를 정치적 판단에 중요한 변수로 본다는 점을 시사한다. 가장 중요하다고 꼽는 이슈에도 기후위기가 들어가 있다. 현재의 정치나 정책에 기후위기가 잘 반영되지 않을 뿐이지, 이미 사람들은 이 문제를 걱정하고 있고 주요한 정책으로 다뤄지기를 바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점이 이번 인식 조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결과였다. 또 한 가지 포인트는 이번 조사를 통해 기후 유권자를 도출해 냈는데, 전라남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원인을 분석하자면, 지난 해 전라남도가 가뭄으로 상당히 심한 고통을 겪었다. 우리 연구소는 이 지역이 가뭄을 직접 경험했고, 그로 인해 생계에 지장이 컸다고 결론을 지었다. 지역별 기후 인식 조사를 앞으로 매년 같은 시기에 진행할 예정이다. 이 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기후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얼마나 민감하게 느끼며, 기후 유권자로서 행동에 가담할지 등을 추적할 예정이다. 4년 정도 하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거나 대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토론 할 수 있어야


21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기후 관련 법안들이 여전히 많다. 탄소 중립 관련 법안, 녹색 성장 기본법 개정 법안, 온실가스 감축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부처에 그 책임을 강조한 법안, 탄소세 관련 법안, 해외 석탄 투자 금지 관련 법안 등 이전부터 이어 온 논의들이 다수다. 앞으로 제22대 국회에서 법과 제도로 논의되고 개정되어야 한다. 관련한 의제들이 제대로 짜지고 성과를 내려면 언론이 할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본다. 이번 선거에서도 무엇이 쟁점인지, 의제를 던지는 것도 언론이 해야 할 일이다. 이번 선거에도 기후 공약을 제시하는 게 정당이 할 의무임을 분명히 하고, 기후나 에너지 문제에 답을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언론이 기후위기와 관련한 쟁점들을 더 깊게 소개해서 기후위기를 다룬 기사의 양을 절대적으로 늘려야 한다. 그래야 사람들이 접하는 정보가 많아진다. 사람들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토론할 수 있어야, 왜곡 없이 올바른 해법에 도달할 수 있다.

댓글 0개

관련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bottom of page